지식나눔

Fe (iron power) 에 대해서..

우선 Iron power를 써보신분... 이 시약이 산화되지 않은 상태의 색이 어떤가요? 완전히 깨끗한 상태의 색이 실버색인가요? 밝은 은색정도? 산화가 진행될수록 어떠한 색으로 변하죠?? 그리고요.. 제가 하는 실험중에서 작용기 NO₂를 NH₂기로 바꾸는 실험을 하는데 저는 Fe pow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Fe상태가 않좋은것 같아서요 다른 쉬운 방법있으면 알려주세요
  • 환원반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동규님의 답변

    철분말은 입도(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수십미크론~백수십미크론의 범위를 가질 때는 회색입니다.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분말의 범위는 325메쉬(44미크론)에서 100메쉬(150미크론) 정도의 범위입니다. 그러나 44미크론보다 훨씬 더 작을 때는 brmdolee님께서 표현하신 것처럼 점차 흑색에 가까워집니다. 또 표면 상태에 따라서도 색이 변합니다. 구형에 가깝고 입자가 굵을 수록 금속광택에 회색이 되며 표면에 요철이 많을 수록 회색이 짙어집니다. >우선 Iron power를 써보신분... 이 시약이 산화되지 않은 상태의 색이 어떤가요? > >완전히 깨끗한 상태의 색이 실버색인가요? 밝은 은색정도? 산화가 진행될수록 어떠한 색으로 변하죠?? > >그리고요.. 제가 하는 실험중에서 작용기 NO₂를 NH₂기로 바꾸는 실험을 하는데 저는 Fe pow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Fe상태가 않좋은것 같아서요 > >다른 쉬운 방법있으면 알려주세요
    철분말은 입도(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수십미크론~백수십미크론의 범위를 가질 때는 회색입니다.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분말의 범위는 325메쉬(44미크론)에서 100메쉬(150미크론) 정도의 범위입니다. 그러나 44미크론보다 훨씬 더 작을 때는 brmdolee님께서 표현하신 것처럼 점차 흑색에 가까워집니다. 또 표면 상태에 따라서도 색이 변합니다. 구형에 가깝고 입자가 굵을 수록 금속광택에 회색이 되며 표면에 요철이 많을 수록 회색이 짙어집니다. >우선 Iron power를 써보신분... 이 시약이 산화되지 않은 상태의 색이 어떤가요? > >완전히 깨끗한 상태의 색이 실버색인가요? 밝은 은색정도? 산화가 진행될수록 어떠한 색으로 변하죠?? > >그리고요.. 제가 하는 실험중에서 작용기 NO₂를 NH₂기로 바꾸는 실험을 하는데 저는 Fe pow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Fe상태가 않좋은것 같아서요 > >다른 쉬운 방법있으면 알려주세요

    전 제가 쓰던 분말 색깔을 말씀드린건데.... 입자 크기에 따라 그런 차이점이 있었군요. 한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철 분말은 보통 검정색 분말입니다. 산화가 진행되어 약간 색깔이 붉게 변했다고 해도 반응에 별 지장은 없습니다. 약간 더 사용하면 되죠. 환원 반응시 산과 물의 양을 잘 계산해서 넣으셔야 합니다. 특히 물의 양이 부족하면 반응이 일부만 진행되고 멈춥니다. NO₂를 NH₂기로 바꾸는 실험은 Fe power로 하면 저렴하게 할 수 있기는 합니다만.....workup을 잘 하셔야 합니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용액의 색깔이 붉게 변하죠. 산화철이 생성되니까요. 그런데 이 놈이 문젭니다. 자꾸 따라다니거든요. 컬럼을 해도 따라다니고.... 좀 애물단집니다. 주의 깊게 workup을 해야 합니다. NMR로 구조확인 할라치면 피크가 거대한 산을 이루고.... 원인은 아실 겁니다. 쉽게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론 Zn, Sn 같은 다른 금속을 사용하셔도 되구요..... NaBH4를 사용하시면 쉽게 됩니다. Pd/C을 이용한 hydrogenation도 쉽고 깨끗하게 잘 되는 반응이고요.... 단 환원반응을 진행할 때는 다른 functional group에 영향이 있을지를 고려해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nitro group 환원반응은 쉬운 반응이니 어려움을 없을 듯 하네요....행운을 빕니다.
    철 분말은 보통 검정색 분말입니다. 산화가 진행되어 약간 색깔이 붉게 변했다고 해도 반응에 별 지장은 없습니다. 약간 더 사용하면 되죠. 환원 반응시 산과 물의 양을 잘 계산해서 넣으셔야 합니다. 특히 물의 양이 부족하면 반응이 일부만 진행되고 멈춥니다. NO₂를 NH₂기로 바꾸는 실험은 Fe power로 하면 저렴하게 할 수 있기는 합니다만.....workup을 잘 하셔야 합니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용액의 색깔이 붉게 변하죠. 산화철이 생성되니까요. 그런데 이 놈이 문젭니다. 자꾸 따라다니거든요. 컬럼을 해도 따라다니고.... 좀 애물단집니다. 주의 깊게 workup을 해야 합니다. NMR로 구조확인 할라치면 피크가 거대한 산을 이루고.... 원인은 아실 겁니다. 쉽게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론 Zn, Sn 같은 다른 금속을 사용하셔도 되구요..... NaBH4를 사용하시면 쉽게 됩니다. Pd/C을 이용한 hydrogenation도 쉽고 깨끗하게 잘 되는 반응이고요.... 단 환원반응을 진행할 때는 다른 functional group에 영향이 있을지를 고려해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nitro group 환원반응은 쉬운 반응이니 어려움을 없을 듯 하네요....행운을 빕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