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Vector삽입을 왜LacZ에 삽입하나요?

Vector삽입을 왜LacZ에 삽입하는지 궁금합니다. 전공서적을 찾아봐도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vector
  • lacz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노종국님의 답변

    >Vector삽입을 왜LacZ에 삽입하는지 궁금합니다. >전공서적을 찾아봐도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ac Z는 세포가 lactose를 glucose와 galactose로 분해하는 효소인 beta-galactosidase coding하는 유전자 입니다. 일반적으로 vector에는 Lac operon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Lac operon은 lactose를 glucose와 galactose로 분해하는데 쓰이는 operon입니다. Lac operon은 크게 lacI, lacZ,Y,A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lacZ에서 lactose를 분해하는 beta-galactosidase가 나오게 됩니다. 먼저 X-gal이 뭔지는 알아야겠네요. X-gal (5-bromo-4-chloro-3-indolyl-beta-D-galactopyranoside)은 beta-galactosidase와 반응하여 푸른색을 띠는 염색약입니다. 이것은 lactose의 analogue여서, beta-galactosidase에 의해, lactose처럼 인식이 되며, 분해가 됩니다. 또한 이 물질은 분해가 되었을시에는 푸른 색을 나타나게 되지요. 즉, X-gal이 있는 배지에서,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이 자라면, 그 미생물은 푸른 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반대로, beta-galactosidase을 생산하지 못한다면, 하얀색을 나타내게 되구요. 일반적으로 cloning에 이용하는 E. coli들은 LacZ 유전자가 결핍되어있는 mutant strain을 이용합니다. Vector에 들어있는 LacZ의 발현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유전자가 vector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Vector의 구조를 보시면 알겠지만 LcaZ 유전자에 muticloning site (MCS)가 존재합니다. 즉, MCS에 insert DNA가 끼어들어간다면, lacZ gene이 파괴가 되므로, beta-galactosidase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그 recombinant cell은 하얀 색을 나타내게 되고, 이는 곧 우리가 원하는 (recombinant가 된) vector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반대로, muticloning site에 insert DNA가 끼어들어가지 않았다면, lacZ gene에 의해, beta-galactosidase가 정상적으로 만들어 지게 되고, 따라서 그 cell은 푸른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즉 유전자가 vector에 정상적으로 들어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Vector삽입을 왜LacZ에 삽입하는지 궁금합니다. >전공서적을 찾아봐도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ac Z는 세포가 lactose를 glucose와 galactose로 분해하는 효소인 beta-galactosidase coding하는 유전자 입니다. 일반적으로 vector에는 Lac operon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Lac operon은 lactose를 glucose와 galactose로 분해하는데 쓰이는 operon입니다. Lac operon은 크게 lacI, lacZ,Y,A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lacZ에서 lactose를 분해하는 beta-galactosidase가 나오게 됩니다. 먼저 X-gal이 뭔지는 알아야겠네요. X-gal (5-bromo-4-chloro-3-indolyl-beta-D-galactopyranoside)은 beta-galactosidase와 반응하여 푸른색을 띠는 염색약입니다. 이것은 lactose의 analogue여서, beta-galactosidase에 의해, lactose처럼 인식이 되며, 분해가 됩니다. 또한 이 물질은 분해가 되었을시에는 푸른 색을 나타나게 되지요. 즉, X-gal이 있는 배지에서,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이 자라면, 그 미생물은 푸른 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반대로, beta-galactosidase을 생산하지 못한다면, 하얀색을 나타내게 되구요. 일반적으로 cloning에 이용하는 E. coli들은 LacZ 유전자가 결핍되어있는 mutant strain을 이용합니다. Vector에 들어있는 LacZ의 발현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유전자가 vector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Vector의 구조를 보시면 알겠지만 LcaZ 유전자에 muticloning site (MCS)가 존재합니다. 즉, MCS에 insert DNA가 끼어들어간다면, lacZ gene이 파괴가 되므로, beta-galactosidase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그 recombinant cell은 하얀 색을 나타내게 되고, 이는 곧 우리가 원하는 (recombinant가 된) vector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반대로, muticloning site에 insert DNA가 끼어들어가지 않았다면, lacZ gene에 의해, beta-galactosidase가 정상적으로 만들어 지게 되고, 따라서 그 cell은 푸른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즉 유전자가 vector에 정상적으로 들어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