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4-15- 0
산성약물이 산성, 즉 위장에서 흡수가 잘된다는 것은 염기성 약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흡수가 잘된다는 겁니다. 염기성 약물은 산성조건에서 이온화된 상태가 되므로 소수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세포막 투과성이 감소하기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대다수 약물은 산성조건 보다는 염기성 조건(즉 소장)에서 더 잘 흡수됩니다. 이는 소장의 표면적과 막투과성의 차이 때문 입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4-19- 0
>만약 그렇다면 왜 그런지 쉽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물이 pKa에 따라서 흡수되어지는 곳의 pH와 연관성이 있습니다. 이것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Henderson-Hasselbach equation을 이용해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즉, pH = pka + log[(A-)/(HA)] 를 이용해서 약물의 흡수장소에 따라서 흡수도를 추청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들어서 약물의 pKa가 4일 경우에, 위와 소장의 pH가 2와 6이라고 가정할 경우에, 위에서는 약물의 HA form이 우세하고, 장에서는 A- form이 우세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 약물은 장보다는 위에서 흡수가 잘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