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GPC분석시 STD의 RT차이 ?

GPC(Gel Permitation Chromatography)분석에서 STD를 분석한 후 여기서 나온 RT를 Plotting하여 시료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STD를 분석할때 RT차이가 없이 일정하게 나와야 분석오차를 줄일수 있는데 STD 분석시 RT가 자꾸 변합니다. (찍을때 마다) 하드웨어적인 문제인것 같은데(?) 접근을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
  • GPC
  • STD
  • R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GPC(Gel Permitation Chromatography)분석에서 STD를 분석한 후 여기서 나온 RT를 >Plotting하여 시료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STD를 분석할때 RT차이가 없이 일정하게 나와야 분석오차를 줄일수 있는데 STD 분석시 >RT가 자꾸 변합니다. (찍을때 마다) >하드웨어적인 문제인것 같은데(?) 접근을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시료 loading량이 일정한지요?.. 아니면 fraction collector에서 flow rate가 일정하게 조절되지 않는거 아닌지요?.. peristaltic pump를 오래사용하다 보면 pump가 일정하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retention time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점검을 받아보세요..
    >GPC(Gel Permitation Chromatography)분석에서 STD를 분석한 후 여기서 나온 RT를 >Plotting하여 시료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STD를 분석할때 RT차이가 없이 일정하게 나와야 분석오차를 줄일수 있는데 STD 분석시 >RT가 자꾸 변합니다. (찍을때 마다) >하드웨어적인 문제인것 같은데(?) 접근을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시료 loading량이 일정한지요?.. 아니면 fraction collector에서 flow rate가 일정하게 조절되지 않는거 아닌지요?.. peristaltic pump를 오래사용하다 보면 pump가 일정하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retention time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점검을 받아보세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Chromatography 분석에서 RT에 영향을 주는 원인은 크게 flow rate이 일정치 않거나 column oven temperature가 일정치 않을 때 나타납니다. 물론 mobile phase의 eluent strength가 일정치 않아도 문제가 생기죠. 하지만 같은 컬럼을 사용해 여러번 반복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셨다면, mobile phase를 잘못 제조했다거나 컬럼의 분리능이 변한다거나 하는 문제일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하드웨어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 중에서도 flow rate이 일정치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column oven의 문제일 경우 자가점검이 쉽지 않습니다.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유속의 경우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해보면 되므로 간단하게 점검이 가능하죠.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 되지 않는 원인으로는 펌프 입니다. 펌프의 플런저실이 마모되서 새거나 체크밸브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서 압력이 아래위로 심하게 요동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경우 모두 해당부분을 교체해야 합니다. 장비에 대해 잘 모르실 경우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으시는게 시간 절약이 됩니다. 어느 정도 지식이 있고, 교체용 소모성 부품이 준비되어 있을 경우(일반적으로 여유분이 있을 겁니다.)엔 직접 하시면 엔지니어를 기다리지 않아도 되니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로딩에 의한 문제일 경우엔 RT보다는 면적에 영향이 크게 나타납니다. 참고하셔서 상황에 따라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Chromatography 분석에서 RT에 영향을 주는 원인은 크게 flow rate이 일정치 않거나 column oven temperature가 일정치 않을 때 나타납니다. 물론 mobile phase의 eluent strength가 일정치 않아도 문제가 생기죠. 하지만 같은 컬럼을 사용해 여러번 반복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셨다면, mobile phase를 잘못 제조했다거나 컬럼의 분리능이 변한다거나 하는 문제일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하드웨어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 중에서도 flow rate이 일정치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column oven의 문제일 경우 자가점검이 쉽지 않습니다.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유속의 경우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해보면 되므로 간단하게 점검이 가능하죠.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 되지 않는 원인으로는 펌프 입니다. 펌프의 플런저실이 마모되서 새거나 체크밸브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서 압력이 아래위로 심하게 요동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경우 모두 해당부분을 교체해야 합니다. 장비에 대해 잘 모르실 경우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으시는게 시간 절약이 됩니다. 어느 정도 지식이 있고, 교체용 소모성 부품이 준비되어 있을 경우(일반적으로 여유분이 있을 겁니다.)엔 직접 하시면 엔지니어를 기다리지 않아도 되니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로딩에 의한 문제일 경우엔 RT보다는 면적에 영향이 크게 나타납니다. 참고하셔서 상황에 따라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