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원소분석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것은 샘플에 들어있는 sulfur의 양을 정량화 하고 싶습니다. 원소분석을 통해서 측정한 결과가 있는데요. 측정할때마다 같은 샘플인데 오차가 발생합니 다. 어느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겠지만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샘플에 여러가지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는 경우에 회(ash)화가 덜 진행되어서 그런 결과가 나온다고 이야기하는데... 어떻게 하면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을까요?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외에 다른 측정기기가 뭐가 있나요?? 원자흡광분석기(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나 XRF는 어떤가요?? 가능하다면 기기 보유한곳좀 알 수 있을까요??
  • 원소분석
  • 다당류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제가 궁금한것은 샘플에 들어있는 sulfur의 양을 정량화 하고 싶습니다. > >원소분석을 통해서 측정한 결과가 있는데요. 측정할때마다 같은 샘플인데 오차가 발생합니 > >다. 어느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겠지만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샘플에 여러가지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는 경우에 회(ash)화가 덜 진행되어서 그런 > >결과가 나온다고 이야기하는데... > >어떻게 하면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을까요? >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외에 다른 측정기기가 뭐가 있나요?? > >원자흡광분석기(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나 XRF는 어떤가요?? > >가능하다면 기기 보유한곳좀 알 수 있을까요?? > > >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로도 분석이 가능합니다. AAS는 한국화학시험연구원(http://www.ktr.or.kr/test_analysis/analysis6_6.php)에서 유료분석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국공립 기관(kist, kbsi 등)에서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윗분께서 ICP를 추천하셨는데, 물론 가능합니다만 좀 더 sensitivity를 높이고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은 데이타를 얻기 위해서는 ICP-MS를 추천합니다. 이 기기는 서울대기초과학공동기기원(kiki.snu.ac.kr) 등에서 분석지원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 >제가 궁금한것은 샘플에 들어있는 sulfur의 양을 정량화 하고 싶습니다. > >원소분석을 통해서 측정한 결과가 있는데요. 측정할때마다 같은 샘플인데 오차가 발생합니 > >다. 어느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겠지만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샘플에 여러가지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는 경우에 회(ash)화가 덜 진행되어서 그런 > >결과가 나온다고 이야기하는데... > >어떻게 하면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을까요? >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외에 다른 측정기기가 뭐가 있나요?? > >원자흡광분석기(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나 XRF는 어떤가요?? > >가능하다면 기기 보유한곳좀 알 수 있을까요?? > > >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로도 분석이 가능합니다. AAS는 한국화학시험연구원(http://www.ktr.or.kr/test_analysis/analysis6_6.php)에서 유료분석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국공립 기관(kist, kbsi 등)에서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윗분께서 ICP를 추천하셨는데, 물론 가능합니다만 좀 더 sensitivity를 높이고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은 데이타를 얻기 위해서는 ICP-MS를 추천합니다. 이 기기는 서울대기초과학공동기기원(kiki.snu.ac.kr) 등에서 분석지원이 가능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종석님의 답변

    ICP분석을 추천합니다. ppb수준까지 정량이 가능한것으로 압니다. 주위에 장비를 검색해보세요. 왠만한 학교에는 ICP가 있을것입니다. 만약 주위에 장비가 없다면, 경기바이오센터로 문의하세요. 담당자 연락처: 031-888-6032 >안녕하세요. > >제가 궁금한것은 샘플에 들어있는 sulfur의 양을 정량화 하고 싶습니다. > >원소분석을 통해서 측정한 결과가 있는데요. 측정할때마다 같은 샘플인데 오차가 발생합니 > >다. 어느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겠지만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샘플에 여러가지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는 경우에 회(ash)화가 덜 진행되어서 그런 > >결과가 나온다고 이야기하는데... > >어떻게 하면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을까요? >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외에 다른 측정기기가 뭐가 있나요?? > >원자흡광분석기(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나 XRF는 어떤가요?? > >가능하다면 기기 보유한곳좀 알 수 있을까요?? > > >
    ICP분석을 추천합니다. ppb수준까지 정량이 가능한것으로 압니다. 주위에 장비를 검색해보세요. 왠만한 학교에는 ICP가 있을것입니다. 만약 주위에 장비가 없다면, 경기바이오센터로 문의하세요. 담당자 연락처: 031-888-6032 >안녕하세요. > >제가 궁금한것은 샘플에 들어있는 sulfur의 양을 정량화 하고 싶습니다. > >원소분석을 통해서 측정한 결과가 있는데요. 측정할때마다 같은 샘플인데 오차가 발생합니 > >다. 어느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겠지만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샘플에 여러가지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는 경우에 회(ash)화가 덜 진행되어서 그런 > >결과가 나온다고 이야기하는데... > >어떻게 하면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을까요? >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외에 다른 측정기기가 뭐가 있나요?? > >원자흡광분석기(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나 XRF는 어떤가요?? > >가능하다면 기기 보유한곳좀 알 수 있을까요??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