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중합관련

안녕하세요~ 중합관련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문의합니다. Nylon6, PP, PE, PES(poly ether sulfone)를 중합 할려고 합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위와 같은 종류의 고분자를 중합하기 위해서 중합기 세팅을 어떻게 해 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나의 중합기를 가지고 여러 종류의 중합을 할려고 하는데, 가능한지 궁금하여 이렇게 문 의합니다. 가능하다면 장비의 세팅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분자 중합시 사용되는 촉매 및 적정조건 은 또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전문가 여러분의 소중한 답변을 기다립니다.
  • 중합
  • 합성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경일님의 답변

    폴리올레핀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하나의 중합기로 중합이 가능 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폴리올레핀의 경우 여러개의 중합기를 가지고 시리즈 모드, 평형모드같이 여러 조건으로 중합을 합니다만 하나의 중합기에 중합원료와 촉매를 넣고 적정온도를 유지하면 중합을 하기에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말씀하신 종류의 고분자는 중합원료가 모두 다릅니다. PP는 프로필렌, PE는 에틸렌을 원료로 사용합니다. 나일론은 카프로락탐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합시 사용되는 온도와 촉매는 촉매활성과 생성되는 고분자의 물성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중합온도가 결정되어집니다. 즉 촉매에 따라 중합온도가 달라집니다. 상용화된 PP 현탁중합법의 경우 주촉매, 부촉매, 공촉매, 조촉매(Donor)가 사용되고 PE는 주촉매, 부촉매, 공촉매가 사용됩니다. 즉 촉매가 한가지만 사용되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실제 공정에서 중합시 사용촉매와 중합온도는 회사기밀사항이어서 상용화된 방법을 알기는 어려우실 겁니다. 다만 중합시 사용되는 개시제의 분해온도를 참고하면 대략적이나마 적정온도범위를 세팅하실 수 있을 겁니다. 세밀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중합관련 대학원 연구실에 컨택해서 알아보는 게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이상 허접한 대답이었습니다.
    폴리올레핀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하나의 중합기로 중합이 가능 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폴리올레핀의 경우 여러개의 중합기를 가지고 시리즈 모드, 평형모드같이 여러 조건으로 중합을 합니다만 하나의 중합기에 중합원료와 촉매를 넣고 적정온도를 유지하면 중합을 하기에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말씀하신 종류의 고분자는 중합원료가 모두 다릅니다. PP는 프로필렌, PE는 에틸렌을 원료로 사용합니다. 나일론은 카프로락탐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합시 사용되는 온도와 촉매는 촉매활성과 생성되는 고분자의 물성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중합온도가 결정되어집니다. 즉 촉매에 따라 중합온도가 달라집니다. 상용화된 PP 현탁중합법의 경우 주촉매, 부촉매, 공촉매, 조촉매(Donor)가 사용되고 PE는 주촉매, 부촉매, 공촉매가 사용됩니다. 즉 촉매가 한가지만 사용되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실제 공정에서 중합시 사용촉매와 중합온도는 회사기밀사항이어서 상용화된 방법을 알기는 어려우실 겁니다. 다만 중합시 사용되는 개시제의 분해온도를 참고하면 대략적이나마 적정온도범위를 세팅하실 수 있을 겁니다. 세밀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중합관련 대학원 연구실에 컨택해서 알아보는 게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이상 허접한 대답이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