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전기화학실험에서

CV를 이용한 전기화학실험 관련된 논문들을 보면 어떤건 scan rate에 따른 current에 대해서 도시하고, 어떤건 root scan rate에 따른 current에 대해서 도시하는데, 어떤 기준에서 다르게 도시하는건가요?
  • CV
  • scan ra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님의 답변

    >CV를 이용한 전기화학실험 관련된 논문들을 보면 >어떤건 scan rate에 따른 current에 대해서 도시하고, >어떤건 root scan rate에 따른 current에 대해서 도시하는데, >어떤 기준에서 다르게 도시하는건가요? 개인적인 의견이 될 수 있겠지만, 보통 scan rate-current curve의 경우 보는 관점에 따라 일반값과 root 값을 이용에 plot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다시말해, root값의 경우에 어떤 transition point를 보고 싶다거나, 변화를 확대해서 보고 싶을 때 사용하게 되고, 일반 값에서도 그런 변화가 확연히 보인다면 굳이 root값을 사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둘의 차이는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에 있어서 자기의 주장을 좀더 명확하게 해주기 위한 기교 중 하나일 듯 합니다. 도움이 되실지 모르지만 몇 주 적었습니다.
    >CV를 이용한 전기화학실험 관련된 논문들을 보면 >어떤건 scan rate에 따른 current에 대해서 도시하고, >어떤건 root scan rate에 따른 current에 대해서 도시하는데, >어떤 기준에서 다르게 도시하는건가요? 개인적인 의견이 될 수 있겠지만, 보통 scan rate-current curve의 경우 보는 관점에 따라 일반값과 root 값을 이용에 plot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다시말해, root값의 경우에 어떤 transition point를 보고 싶다거나, 변화를 확대해서 보고 싶을 때 사용하게 되고, 일반 값에서도 그런 변화가 확연히 보인다면 굳이 root값을 사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둘의 차이는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에 있어서 자기의 주장을 좀더 명확하게 해주기 위한 기교 중 하나일 듯 합니다. 도움이 되실지 모르지만 몇 주 적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