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설탕에 생산지 차별화 표지인자를 삽입할 수 있을까요?

설탕에 생산지를 차별화하기 위한 표지인자를 삽입할 수 있을까요?
  • 설탕
  • 원산지
  • 표지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사실 전 생물학적인 방법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합니다만 화학적인 배경을 활용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어떤 의도에서 이런 궁금증을 가지시게 되셨는지 모르니 그냥 제 생각을 말씀드려 봅니다. 다만 농산물이나 이를 가공한 식품의 원산지를 구별할 수 있는 그 무언가를 삽입하거나 찾아낼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요. 실제로 마약의 경우 화학적 분석을 통해 재배지를 알아내는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고 활용도 되고 있는 걸로 압니다. 좀더 구체적으론 질량분석법(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아편처럼 천연물에 근간을 두고 있는 물질의 경우 천연물의 출발첨인 작물(양귀비가 되겠죠?)이 자란 환경에 따라 독특한 화학적 지문(chemical finger print)이 존재하는 모양입니다. 이를 정밀하게 분석하면 원산지 추적이 가능한거라네요. 물론 이를 구별하기 위해선 사전에 각 주요 재배지별로 화학적지문이 밝혀져 있어야겠지요. 또 인위적으로 화학적 지문을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겁니다. 제 생각입니다만 식물이 생장하기 위해선 많은 유기물을 흡수해야 하므로 비료 등을 이용해 화학적 지문을 만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동위원소 같은 걸 이용할 수 있겠죠. 물론 경제적인 측면은 고려하지 않았지만,단순히 예입니다. 비료의 구성 성분 중 탄소, 질소, 인 등 중에 특정 원소의 동위원소비를 자연상태일 때와 다르게 해서 공급한다면 작물에서 얻게될 물질의 동위원소비가 달라질테니까요. 따라서 동위원소비가 화학적 지문이 되는거죠.
    사실 전 생물학적인 방법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합니다만 화학적인 배경을 활용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어떤 의도에서 이런 궁금증을 가지시게 되셨는지 모르니 그냥 제 생각을 말씀드려 봅니다. 다만 농산물이나 이를 가공한 식품의 원산지를 구별할 수 있는 그 무언가를 삽입하거나 찾아낼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요. 실제로 마약의 경우 화학적 분석을 통해 재배지를 알아내는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고 활용도 되고 있는 걸로 압니다. 좀더 구체적으론 질량분석법(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아편처럼 천연물에 근간을 두고 있는 물질의 경우 천연물의 출발첨인 작물(양귀비가 되겠죠?)이 자란 환경에 따라 독특한 화학적 지문(chemical finger print)이 존재하는 모양입니다. 이를 정밀하게 분석하면 원산지 추적이 가능한거라네요. 물론 이를 구별하기 위해선 사전에 각 주요 재배지별로 화학적지문이 밝혀져 있어야겠지요. 또 인위적으로 화학적 지문을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겁니다. 제 생각입니다만 식물이 생장하기 위해선 많은 유기물을 흡수해야 하므로 비료 등을 이용해 화학적 지문을 만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동위원소 같은 걸 이용할 수 있겠죠. 물론 경제적인 측면은 고려하지 않았지만,단순히 예입니다. 비료의 구성 성분 중 탄소, 질소, 인 등 중에 특정 원소의 동위원소비를 자연상태일 때와 다르게 해서 공급한다면 작물에서 얻게될 물질의 동위원소비가 달라질테니까요. 따라서 동위원소비가 화학적 지문이 되는거죠.
    이우근(lwglwg) 2010-06-28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 찾다보니 이제사 답을 드림을 용서해 주십시오.
    우선 아편 화학적 지문 예를 주셨습니다만, 열을 가해서 얻어진 설탕제품에 사탕무나 수수의 자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화학적 지문이 존재함을 어떻게 알 수 있을지요?
    또는 식품의 재료가 되는 설탕에 먹어도 안전한 구분 가능한 화학적 지문을 만들 수 있을지 답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정보가 있으시면 한번 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설탕에 생산지를 차별화하기 위한 표지인자를 삽입할 수 있을까요? 원산지 표기 가능합니다. 실제로 표기를 하여 판매되는 상품도 이미 있습니다. OO산 유기농설탕같이 표기되는 것도 있구요..
    >설탕에 생산지를 차별화하기 위한 표지인자를 삽입할 수 있을까요? 원산지 표기 가능합니다. 실제로 표기를 하여 판매되는 상품도 이미 있습니다. OO산 유기농설탕같이 표기되는 것도 있구요..
    이우근(lwglwg) 2010-05-26

    유/무상으로 구득할만한 기술(특허) 등을 소개해 주십시오-lwglwg

    이우근(lwglwg) 2012-06-22

    OO산 유기농설탕같이 표기되는 것은 상표[이름]만 그럴싸하게 지은 것이라 보입니다. 과학적으로 증명이 가능한 방법이 없을까요?

  • 답변

    이우근님의 답변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올려주신 의견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찾느라 노력하다보니 이제사 답을 드림을 용서해 주십시오. 우선 화학적 지문의 예를 아편으로 들어 주셨습니다만, 열을 가해서 얻어진 설탕제품에 사탕무나 수수의 자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화학적 지문이 존재함을 어떻게 알 수 있을지요? 또는 식품의 재료가 되는 설탕에 먹어도 안전하게 구분 가능한 화학적 지문을 만들 수 있을지 답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정보가 있으시면 한번 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올려주신 의견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찾느라 노력하다보니 이제사 답을 드림을 용서해 주십시오. 우선 화학적 지문의 예를 아편으로 들어 주셨습니다만, 열을 가해서 얻어진 설탕제품에 사탕무나 수수의 자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화학적 지문이 존재함을 어떻게 알 수 있을지요? 또는 식품의 재료가 되는 설탕에 먹어도 안전하게 구분 가능한 화학적 지문을 만들 수 있을지 답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정보가 있으시면 한번 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