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질산염의 정확한 칭량은 어떻게

질산염 용액을 이용하여 복합 분말을 제조하려 합니다. 하지만 질산염이 수화물 형태로 있어 건조상태에 따라 수분의 양이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예를 들면 La(NO3)3 6H2O의 경우 물앞의 계수가 6이지만 어떤경우는 x 표시되는 질산염도 있는 것을 보면 건조 상태에 따라 함수량이 틀려질 것으로 예상이됩니다. 다른 재료의 질산염과 혼합해 복합물을 만들려고 하는데 정확한 몰비를 칭량해서 제조하고 싶은데요. 몰비가 달라지면 물성이 달라질 수 있어서요. 이경우 정확한 칭량을 위해 질산염을 전처리한다든가 어떤 방법이 있는지요. 경험있으신분들의 노하우를 부탁드립니다.
  • 질산염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La(NO3)3 6H2O로 분자식이 표현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은 물이 결정수이기 때문에 건조상태에 따라 수분이 다르진 않습니다. 간혹 결정수가 온도에 따라 수분이 쉽게 빠져나가 수분함량이 달라지는 경우도 간혹 있기는한데... 이 경우엔 그렇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순도 시약을 사용하시면 이런 걱정을 더실 수 있을 겁니다. 만약 고순도 시약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용액을 제조한 후 농도를 정량해서 사용하면 될 겁니다. 질산염의 경우 질산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량을 한다면 AA를 이용해서 La를 정량하는 편이 정확할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엔 시약의 함량이 의심되거나 규격화가 필요할 경우 시약제조사에 요청해서 정량법을 받아서 함량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량 분석법을 확립한 후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La(NO3)3 6H2O로 분자식이 표현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은 물이 결정수이기 때문에 건조상태에 따라 수분이 다르진 않습니다. 간혹 결정수가 온도에 따라 수분이 쉽게 빠져나가 수분함량이 달라지는 경우도 간혹 있기는한데... 이 경우엔 그렇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순도 시약을 사용하시면 이런 걱정을 더실 수 있을 겁니다. 만약 고순도 시약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용액을 제조한 후 농도를 정량해서 사용하면 될 겁니다. 질산염의 경우 질산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량을 한다면 AA를 이용해서 La를 정량하는 편이 정확할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엔 시약의 함량이 의심되거나 규격화가 필요할 경우 시약제조사에 요청해서 정량법을 받아서 함량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량 분석법을 확립한 후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