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6
org.kosen.entty.User@3135f589
조영일(youngil84)
- 1
첨부파일
형광입자가 함유된 액체를 한방울 떨어뜨린후 이걸 형광 스캐너를 이용하여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읽어 나갔다고 했을때 형광세기가 액체위에서 똑같이 나오는게 아니라 형광입자가 함유된 액체방울의 맨 왼쪽과 맨 오른쪽 끝부분이 형광세기가 가장 컸었는데요..다시말해 액체방울 위에서 형광세기가 U자 형태로 세기가 나왔는데요..
자세하게 그림으로 설명드리기 위해 파일을 첨부했습니다.
확인하시고 답변좀 부탁드릴께요
- 1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5-31- 0
질문의 요지를 조금 변경하겠습니다. 형광입자를 2D형상인 평면에 떨어뜨린후 폐곡면을 스캐닝하였을 때 왜? U자 형태로 용액의 경계면에서의 형광 에너지 강도가 크게 나오는가? 이의 답은 에너지 강도는 경계면에서 항상 세게 나온다는 것입니다. 위의 내용에서 2개의 keyword가 나옵니다. 폐곡면,경계면에서의 에너지. 물리학에서 중요한 법칙중의 하나인 Gauss법칙에 근거합니다. Gauss법칙은 "폐곡면에서의 알짜에너지는 Gauss면(실제 표면의 바로 안쪽면:원자의 반지름에 해당함)에 위치한다"입니다. 따라서 용액의 물방울 형태를 떨어뜨렸을 때 내부면 보다 경계면에서 에너지 강도가 항상 높게 나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