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PR imaging에서요

Surface Plsmon Resonance image 에서요~ antigen에 혹은 antibody에 goldnanoparticle을 붙여서 ab 혹은 ag에 binding 시키면 신호가 증폭되는데요~ 이게 무슨 원리인지 이유좀 알려주세요..
  • sp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육종설님의 답변

    >Surface Plsmon Resonance image 에서요~>antigen에 혹은 antibody에 goldnanoparticle을 붙여서 ab 혹은 ag에 binding 시키면 신호가 증폭되는데요~ 이게 무슨 원리인지 이유좀 알려주세요.. 일반적으로 나노입자와 금 박막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 surface plasmon resonance) 에 의한 현상으로 신호 증폭이 일어나는 것으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고 있습니다.
    >Surface Plsmon Resonance image 에서요~>antigen에 혹은 antibody에 goldnanoparticle을 붙여서 ab 혹은 ag에 binding 시키면 신호가 증폭되는데요~ 이게 무슨 원리인지 이유좀 알려주세요.. 일반적으로 나노입자와 금 박막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 surface plasmon resonance) 에 의한 현상으로 신호 증폭이 일어나는 것으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임형순님의 답변

    >Surface Plsmon Resonance image 에서요~>antigen에 혹은 antibody에 goldnanoparticle을 붙여서 ab 혹은 ag에 binding 시키면 신호가 증폭되는데요~ 이게 무슨 원리인지 이유좀 알려주세요.. 기본적으로 SPR은 gold 표면에서의 local refractive index 변화를 감지하는데요. 분자 물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분자물질의 무게가 클수록 refractive index 변화값이 크게 됩니다. 그래서 nanoparticle을 붙여서 binding을 시킬경우 전체적으로 binding되는 물질의 질량이 더 크게 되어 일반적으로 더 큰 신호 변화를 감지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주 미세한 양의 DNA 검출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gold nanoparticle의 경우 gold nanoparticle 자체가 가질수 있는 localized SPR과의 coupling을 통해서 좀 더 강한 enhanced-SPR 효과를 얻게 되어 전체적인 sensitivity가 올라가는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Surface Plsmon Resonance image 에서요~>antigen에 혹은 antibody에 goldnanoparticle을 붙여서 ab 혹은 ag에 binding 시키면 신호가 증폭되는데요~ 이게 무슨 원리인지 이유좀 알려주세요.. 기본적으로 SPR은 gold 표면에서의 local refractive index 변화를 감지하는데요. 분자 물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분자물질의 무게가 클수록 refractive index 변화값이 크게 됩니다. 그래서 nanoparticle을 붙여서 binding을 시킬경우 전체적으로 binding되는 물질의 질량이 더 크게 되어 일반적으로 더 큰 신호 변화를 감지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주 미세한 양의 DNA 검출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gold nanoparticle의 경우 gold nanoparticle 자체가 가질수 있는 localized SPR과의 coupling을 통해서 좀 더 강한 enhanced-SPR 효과를 얻게 되어 전체적인 sensitivity가 올라가는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