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RI agent 로써의 nickel

현재 나노 파티클 분야에서 MRI agent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압니다. 주로 산화철과 같은 물질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궁금한 것이... 금속 물질이라면 모두 다 MRI agent로 사용이 가능한 것입니까? 알아보기로는, paramagnetic(상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만이 MRI agent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nickel 금속이 MRI agent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인터넷으로 알아보려니, 어느 곳에서는 가능하다고 하고 어느 곳에서는 가능하지 않다고 해서요. 전문가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나노
  • 바이오
  • 진단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비전문가입니다만....Gd계 조영제에 관심을 가진적이 있어 몇자 적어 봅니다. Fe, Ni, Co 등 모두 상자성 물질로 MRI용 조영제로 사용이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독성이나 배출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라고 합니다. Gd계 조영제가 가장 일반적이고, Fe계 조영제가 일부 사용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조영제의 특성상 진단과정에서 조영제 역할을 한 후 빠르고 완벽하게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독성이 있다고나 배출이 잘 않된다거나 하면 임상시험 단계에서 탈락될 겁니다. 니켈계 화합물의 경우 발암성이나 기형유발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일 것 같네요. 철의 경우 빈혈약으로 먹기도 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나 봅니다.
    비전문가입니다만....Gd계 조영제에 관심을 가진적이 있어 몇자 적어 봅니다. Fe, Ni, Co 등 모두 상자성 물질로 MRI용 조영제로 사용이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독성이나 배출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라고 합니다. Gd계 조영제가 가장 일반적이고, Fe계 조영제가 일부 사용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조영제의 특성상 진단과정에서 조영제 역할을 한 후 빠르고 완벽하게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독성이 있다고나 배출이 잘 않된다거나 하면 임상시험 단계에서 탈락될 겁니다. 니켈계 화합물의 경우 발암성이나 기형유발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일 것 같네요. 철의 경우 빈혈약으로 먹기도 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나 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