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HPLC chromatogram 해석

첨부파일


HPLC chromatogram 해석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첨부한 자료중에서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왜 자꾸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없앨 수 없다면 왜 나오는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동상 조건은 MeOH:phosphate buffer = 8:2 이고, Column 은 C18입니다.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좀 급해서요;; 부탁드립니다.
  • HPL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HPLC chromatogram 해석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첨부한 자료중에서 >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 왜 자꾸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없앨 수 없다면 왜 나오는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이동상 조건은 MeOH:phosphate buffer = 8:2 이고, >Column 은 C18입니다. >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좀 급해서요;; 부탁드립니다. > > Mobile phase만 injection했을 때의 chromatogram의 경우도 1.89min에서 peak이 보이면 mobile phase에서 유래한 peak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Mobile phase의 성분이 methanol과 phosphate buffer이므로 충분히 나올 수 있습니다. Phosphate buffer의 phosphodiester bond의 absorption에서 유래 할 수 있습니다. 또는 Methanol의 hydroxyl group의 cut off값을 참고해 보세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샘플이 흡수할 수 있는 파장중에 가장 긴 파장에서 detection할 경우 원치 않는 peak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HPLC chromatogram 해석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첨부한 자료중에서 >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 왜 자꾸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없앨 수 없다면 왜 나오는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이동상 조건은 MeOH:phosphate buffer = 8:2 이고, >Column 은 C18입니다. >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좀 급해서요;; 부탁드립니다. > > Mobile phase만 injection했을 때의 chromatogram의 경우도 1.89min에서 peak이 보이면 mobile phase에서 유래한 peak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Mobile phase의 성분이 methanol과 phosphate buffer이므로 충분히 나올 수 있습니다. Phosphate buffer의 phosphodiester bond의 absorption에서 유래 할 수 있습니다. 또는 Methanol의 hydroxyl group의 cut off값을 참고해 보세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샘플이 흡수할 수 있는 파장중에 가장 긴 파장에서 detection할 경우 원치 않는 peak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 blank에서 관찰되지 않던 피크가 검액에서 반복적으로 같은 자리에서 관찰된다면 ghost peak은 아니라고 판단해야 합니다. 하지만 negative로 떨어지는 부분이 solvent front가 맞다면 solvent front 보다 앞서 나오는 셈입니다. 일반적으론 solvent front보다 빨리 나오는 피크는 흔치 않습니다.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NaCl 같은 무기염(salt)이나 고분자성 물질 등 만이 solvent front보다 앞서 나올 수 있는 물질입니다.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solvent peak(또는 solvent front)가 맞다면 이동상을 주입한 blank test에서도 같은 패턴이 관찰되어야 합니다. 확인해 보세요. 참고가 되셨나요.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 blank에서 관찰되지 않던 피크가 검액에서 반복적으로 같은 자리에서 관찰된다면 ghost peak은 아니라고 판단해야 합니다. 하지만 negative로 떨어지는 부분이 solvent front가 맞다면 solvent front 보다 앞서 나오는 셈입니다. 일반적으론 solvent front보다 빨리 나오는 피크는 흔치 않습니다.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NaCl 같은 무기염(salt)이나 고분자성 물질 등 만이 solvent front보다 앞서 나올 수 있는 물질입니다.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solvent peak(또는 solvent front)가 맞다면 이동상을 주입한 blank test에서도 같은 패턴이 관찰되어야 합니다. 확인해 보세요. 참고가 되셨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HPLC chromatogram 해석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첨부한 자료중에서 >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 왜 자꾸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없앨 수 없다면 왜 나오는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이동상 조건은 MeOH:phosphate buffer = 8:2 이고, >Column 은 C18입니다. >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좀 급해서요;; 부탁드립니다. > > > solvent peak 이거나 컬럼의 영향이라고 생각하고 무시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앞부분 데이터만 잘라내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만약 원하는 시료과 같은거라면 문제 되지만 문제될 것 없습니다.
    >HPLC chromatogram 해석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첨부한 자료중에서 > >1. 1.89min 에서 peak 가 보이는데요 제 생각에는 Ghost peak 같은데, > 왜 자꾸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없앨 수 없다면 왜 나오는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2. 1.89min peak 와 3.5min peak 사이에 Solvent peak로 보이는 패턴이 보이는데 > 시료용매는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그런데 negative 로 떨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이동상 조건은 MeOH:phosphate buffer = 8:2 이고, >Column 은 C18입니다. >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좀 급해서요;; 부탁드립니다. > > > solvent peak 이거나 컬럼의 영향이라고 생각하고 무시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앞부분 데이터만 잘라내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만약 원하는 시료과 같은거라면 문제 되지만 문제될 것 없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