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3
org.kosen.entty.User@3ed36322
하금률(goldlaw)
- 2
신축건물 욕실의 욕조나 변기, 타일등에 종종 발생하는 붉은 색 물 때와 관련하여
개인적으로는 "Seratia marcescens"라는 미생물의 군집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 미생물이 맞는지 틀리는지 분석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 미생물이 의학적으로 위해성이 있는 미생물인지 아닌지,
문헌(논문이나 연구결과 등)상에서 공신력 있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쪽 전공이 아니다보니 너무 막막하네요..
사소한 것이라도 좋으니 도움 꼭 좀 부탁드립니다.
- Seratia
- 미생물
- 위해성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유용규님의 답변
2010-06-25- 2
미생물을 동정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빠른 방법은 분리된 미생물에서 DNA를 추출해서 16s 염기서열을 분석하거나, 미생물의 지방산을 추출해서 GC로 분석해서 library와 비교하는 방법, 그리고 API kit를 이용해서 결과분석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기본적인 전제조건은 미생물을 분리,배양,조작할 수 있는 시설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구요 미생물 전공이 아니시라면 아시는 연구소에 맞기거나 기관에 의뢰를 해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KCCM, 환경산업미생물 및 유전자은행(031-249-9568), 항생제 내성균주 은행 등에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기관이나 연구소에 균주 동정의뢰를 할때에는 순수분리된 미생물을 맞기는게 보통인데 선생님의 말씀대로라면 순수분리상태는 아닌것 같네요... 순수분리 비용까지 추가하게 될 것 같네요... 여기서 그 균 군락에서 적색의 균군락을 나타내는 미생물만을 분리해서 할지... 다른 균주들도 분석을 하실지는 의뢰하시는 분이 결정하셔야 하구요 Seratia marcescens에 대한 자료는 논문으로 첨부합니다. >신축건물 욕실의 욕조나 변기, 타일등에 종종 발생하는 붉은 색 물 때와 관련하여 > >개인적으로는 "Seratia marcescens"라는 미생물의 군집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 >이 미생물이 맞는지 틀리는지 분석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고, > >이 미생물이 의학적으로 위해성이 있는 미생물인지 아닌지, > >문헌(논문이나 연구결과 등)상에서 공신력 있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이쪽 전공이 아니다보니 너무 막막하네요.. > >사소한 것이라도 좋으니 도움 꼭 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6-25- 2
>신축건물 욕실의 욕조나 변기, 타일등에 종종 발생하는 붉은 색 물 때와 관련하여 > >개인적으로는 "Seratia marcescens"라는 미생물의 군집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 >이 미생물이 맞는지 틀리는지 분석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고, > >이 미생물이 의학적으로 위해성이 있는 미생물인지 아닌지, > >문헌(논문이나 연구결과 등)상에서 공신력 있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이쪽 전공이 아니다보니 너무 막막하네요.. > >사소한 것이라도 좋으니 도움 꼭 좀 부탁드립니다. 요즘은 미생물 동정 자동화 기기가 도입되어 일부 기관에서 루틴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위 미생물의 경우는 수질유래의 미생물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가지 추천해 드리고 싶은 곳으로 아래 사이트를 접속해 보세요. (한국화학시험연구원) http://www.ktr.or.kr/test_analysis/analysis5_1.php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