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5
org.kosen.entty.User@79d83c66
최유성(usung22)
- 1
일반적인 고분자를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 시켰습니다.
그런데..crosslingking이 되었으니까 당연하게 열적 안정성은 증가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요? 또한 결정화도는 가교전후를 비교해서 가교후 결정화도가 떨어져야하고
dsc로 분석시 용융 엔탈피의 값은 감소되어야하는거구요??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건가요??
아니면 고분자 물질에 따라 다른건가요??
제가 사용한 고분자는 pva입니다.
관련 문헌이나 조언 부탁드립니다.
- 가교
- 결정화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2010-06-27- 0
>일반적인 고분자를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 시켰습니다. > >그런데..crosslingking이 되었으니까 당연하게 열적 안정성은 증가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 >요? 또한 결정화도는 가교전후를 비교해서 가교후 결정화도가 떨어져야하고 > >dsc로 분석시 용융 엔탈피의 값은 감소되어야하는거구요?? >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건가요?? > >아니면 고분자 물질에 따라 다른건가요?? > >제가 사용한 고분자는 pva입니다. > >관련 문헌이나 조언 부탁드립니다. PVA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가교가 확실히 되었다는 것은 어떻게 알았나요?? DSC에서 본인이 가교가 잘 되었다고 생각하시고 원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하시고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DSC 실험시 몇도까지 실험하셨나요?? PVA(PVA가 보통 300도 이상에서 분해되니까 가교시켜서 열적 안정성이 좋아졌다면)를 가교 시키셨다면 700도 정도까지 실험을 해보셨나요?? 분해되는 온도는 확인 하셨나요??(분해온도가 일반 PVA보다 높다면 분해온도를 체크해보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고분자마다 결정화 온도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지 않습니다. 즉 고분자 물질에 따라 일반적인 경향성에서 벗어나는 것들이 많이 있는것으로 인터넷에 나와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