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21
org.kosen.entty.User@1f82aca0
성정민(positivenemo)
- 2
온도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예를들어, 공기 중에서 상온과 80(섭씨)도, 120(섭씨)도에서 변화 정도가 어떤가요??
- 유전율
- 온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7-22- 2
유전율은 유전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 습도, 주파수 의존성 등 여러가지 변수가 있는데, 오직 한가지 온도에 따른 유전율 변화에 대하여서만 집어내어 이를 수식화한다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첨부 자료를 보시면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변수도 같이 고려되고 있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10-07-22- 2
유전체에 가하는 전기장의 주파수와 유전율의 관계를 표시하는 수많은 수식이 있듯이 온도에 따른 유전율 관계의 수식도 엄청 많습니다. 이말은 해당 물질에 따라 다 틀리다는 말이고 일반적인 수식은 없고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관계만 존재합니다. 물질을 이루는 분자의 구조가 복잡하고 온도에 따른 분자운동이 다 틀리기 때문에 여기에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장을 가해봐야 전자분포의 진동이 일정하게 나올 수가 없습니다. 어떤 논문을 보면 온도와 유전상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기는 했는데... 한마디로 웃기는 논문입니다. (저자들의 명예와 관련이 되어 있으므로 밝히기는 어려우나) 수식을 보면 관계식의 접선을 구하는 미분계수를 표시하고는 유전율과 온도관계라고 주장을 하는데... 온도와 유전율 관계는 순전히 실험으로만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물질의 온도를 올려가면서 일정한 주파수의 전기장을 걸어 나오는 전류를 보고 유전율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그려야 합니다. 일반적인 경향은 온도가 올라가면서 유전율이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다시 내려갑니다. 이런 이유는 분자구조를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온도가 올라가면 분자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전자의 진동도 심해지므로 외부 전기장에 대한 전자분포가 쉽게 일어나지만 어느 온도 이상이 되면 분자들이 진동이 심해져서 구속이 되어 있는 전자들의 분포가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유전율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물론 물질의 분자 구조에 따라 경향은 다 다릅니다. 계속 증가하는 물질도 있고, 계속 감소하는 물질도 있습니다. >온도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예를들어, 공기 중에서 상온과 80(섭씨)도, 120(섭씨)도에서 변화 정도가 어떤가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