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30
org.kosen.entty.User@3583586b
전덕현(jdh1027)
- 2
제가 읽고있는 논문에서 매자나무의 추출물이
NO의 증가를 일으키며, LPS로 자극한 대식세포로부터는
더 많은 NO의 증가를 일으킨다하였는데
LPS가 무엇인지 찾던 중
항염증과 관련해서 NO의 감소가 염증을 억제한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계속 헷갈리는데요 ㅠㅠ
NO의 증가와 감소가 염증에 어떤 영향을 끼치며
LPS와 관련하여 설명해 주세요.
- NO
- 항염증
- 대식세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0-07-30- 0
NO (nitric oxide)와 LPS가 염증반응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우선, LPS (lipopolysaccharide)는 일반적으로 세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염증반응과 관련해서는 생체 내의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생체 내의 다양한 세포에서 NO를 발생시키며 특히, 면역세포에서 많이 방출됩니다. 하지만, 면역계 뿐만 아니라 혈관계에서도 NO는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단적으로 면역계에서만 논할 때 NO도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LPS로 자극을 준 대식세포의 경우 NO의 생산이 증가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역으로 생각하면 NO의 감소가 염증와 연관된다고 볼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오래된 논문이지만, 첨부한 문헌을 참고하시면 염증과 NO의 관계를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하세요. >제가 읽고있는 논문에서 매자나무의 추출물이 >NO의 증가를 일으키며, LPS로 자극한 대식세포로부터는 >더 많은 NO의 증가를 일으킨다하였는데 > >LPS가 무엇인지 찾던 중 >항염증과 관련해서 NO의 감소가 염증을 억제한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 >그래서 계속 헷갈리는데요 ㅠㅠ >NO의 증가와 감소가 염증에 어떤 영향을 끼치며 >LPS와 관련하여 설명해 주세요. -
답변
신동준님의 답변
2010-07-31- 0
그람음성균은 세포벽을 가운데 두고 세포질에 접한 내막과 바깥환경과 접한 외막의 이중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PS는 외막을 구성하는 당지질 성분 중의 하나입니다. 첨부 그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