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03
org.kosen.entty.User@7ca66fa4
권미혜(lovemhbm)
- 1
protein purification을 해본적이 없어서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사를 해보니 GST,MBP,HIS tag을 많이 사용하는것 같은데요
어떤것이 efficiency가 제일 높고, 많이 사용하는 tag인가요??
- protein purification
- tag
- DN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동준님의 답변
2010-08-03- 0
>protein purification을 해본적이 없어서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사를 해보니 GST,MBP,HIS tag을 많이 사용하는것 같은데요 >어떤것이 efficiency가 제일 높고, 많이 사용하는 tag인가요?? > 정제하고자 하는 단백질의 성질에 따라 발현율 및 정제수율이 달라집니다. 실험목적 (항체 생산, assay, 구조분석 등등)이 무엇인지 정확히 명시를 해주셔야 거기에 해당되는 답을 드릴 수 있겠네요 어떤 tagging을 해도 상관이 없다면 GST를 사용하시는 것이 무난할 듯합니다. 비교적 MBP에 비해서 잘 활용되고 있는 시스템이라 주변에서 필요한 시약과 정제방법은 수월하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정제하고자 하는 단백질이 hydrophobic일 경우 GST system이 비교적 좋습니다. 이는 GST가 solubility를 증가시켜주어 발현된 단백질들이 aggregation되는 것을 어느정도까지는 해소해주기 때문입니다. 단백질은 target마다 다르다는 것을 우선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서 단백질을 소량의 배양액으로부터 많이 얻기 위해 과발현(overexpression)하는 것은 inclusion body를 형성시키는 경우가 많으니 항제생산을 위해 inclusion body를 얻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면 가급적이면 피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