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05
org.kosen.entty.User@47fe3608
김정현(hyeon4448)
- 3
안녕하세요
이번에 세포의 생존력 실험을 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생존력 실험을 위해 세포수를 계산해서 1 well당 10,000cell씩 분취를 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물질을 치고 또 24시간동안 배양했습니다.
그리고 MTT assay를 실행한 결과,
물질 농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결과값이 들쑥날쑥합니다.
제 생각에 들쑥날쑥한 이유가 세포가 10,000cell씩 제대로 분취가 되지 않아서 인 것 같은데요, 균일하게 분취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분취가 문제가 아니라면 무엇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참고로 전 8채널피펫을 이용하며, 패트뤼디쉬에 세포현탁액을 넣고 거기서 분취하는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글주변이 없어 글에 두서가 없는 점 죄송하며,
답변 부탁드립니다.
- 96 well
- 세포
- 분취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0-08-05- 0
물질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시기 전에 먼저 96 well에 5단계 정도에 걸쳐 세포 수별로 loading 하신 후에 12 시간 24 시간 정도로 나누어 배양하신 다음에 MTT 시약을 이용하여 assay를 수행해 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한 well만이 아닌 최소한 triplicate (3 well을 동일한 조건으로 cell loading)는 하셔야 결과값을 보정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MTT 시약의 단점을 보완한 WST-1이라는 시약도 cell proliferation assay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토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세포의 생존력 실험을 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생존력 실험을 위해 세포수를 계산해서 1 well당 10,000cell씩 분취를 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물질을 치고 또 24시간동안 배양했습니다. >그리고 MTT assay를 실행한 결과, >물질 농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결과값이 들쑥날쑥합니다. > >제 생각에 들쑥날쑥한 이유가 세포가 10,000cell씩 제대로 분취가 되지 않아서 인 것 같은데요, 균일하게 분취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분취가 문제가 아니라면 무엇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 >참고로 전 8채널피펫을 이용하며, 패트뤼디쉬에 세포현탁액을 넣고 거기서 분취하는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 > >글주변이 없어 글에 두서가 없는 점 죄송하며,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이재옥님의 답변
2010-08-11- 0
MTT assay에서 cell number를 균일하게 분취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지요. 일정한 pippetting도 주요한 요소가 되고 - 항상 같은 press와 방법을 유지-, 전체 wells에 필요한 총 cells의 수에 3~4 wells의 cells number까지 포함하여 하나의 cell pool을 만드시고 그 pool에서 well로 옮길 때마다 cell pool을 pipetting이용해 섞어가면서 동일한 volume을 분주해 가시면 error률을 최소화하실 수 있습니다.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세포의 생존력 실험을 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생존력 실험을 위해 세포수를 계산해서 1 well당 10,000cell씩 분취를 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물질을 치고 또 24시간동안 배양했습니다. >그리고 MTT assay를 실행한 결과, >물질 농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결과값이 들쑥날쑥합니다. > >제 생각에 들쑥날쑥한 이유가 세포가 10,000cell씩 제대로 분취가 되지 않아서 인 것 같은데요, 균일하게 분취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분취가 문제가 아니라면 무엇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 >참고로 전 8채널피펫을 이용하며, 패트뤼디쉬에 세포현탁액을 넣고 거기서 분취하는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 > >글주변이 없어 글에 두서가 없는 점 죄송하며,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0-08-11- 0
CPAE cell을 사용하신다구요. 마지막 도움글과 같이 mixing (pipetting)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 8-channel multipipette이 아닌 mixing을 잘 해주시면서 well 별로 cell을 loading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CPAE cell의 배양 조건은 어떻게 하시나요? 제 기억으론 매우 빨리 잘 자라는 세포일 것 같은데요. 첨부한 논문에도 CPAE를 이용한 MTT assay가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배지에 첨가하는 혈청 농도를 10%로 낮추어 실험을 했더군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세포의 생존력 실험을 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생존력 실험을 위해 세포수를 계산해서 1 well당 10,000cell씩 분취를 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물질을 치고 또 24시간동안 배양했습니다. >그리고 MTT assay를 실행한 결과, >물질 농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결과값이 들쑥날쑥합니다. > >제 생각에 들쑥날쑥한 이유가 세포가 10,000cell씩 제대로 분취가 되지 않아서 인 것 같은데요, 균일하게 분취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분취가 문제가 아니라면 무엇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 >참고로 전 8채널피펫을 이용하며, 패트뤼디쉬에 세포현탁액을 넣고 거기서 분취하는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 > >글주변이 없어 글에 두서가 없는 점 죄송하며,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다만, 제가 8 well을 동일하게 했는데도 불구하고 값이 너무 다른 것 같아서요 또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