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11
org.kosen.entty.User@2fc793e0
이미진(myjc7)
- 3
첨부파일
HPLC 에서 새 column 으로 이동상 80/20으로 흘려주고
Gradient 로 분석을하는데, 지금 첨부한 data는 Blank 입니다.
13~ 20 min 까지 나오는 애들을 뭐라고 해석해야할지 난감합니다,
어찌 씻어줘야할지,,
그래서 물로 한시간정도 씻어주고
다시 이동상 80/20으로 을려주고 blank를 찍어봤는데도 그대로이네요..
이동상은 50mM Sodiumperchloric acid(pH2.5)/ ACN
답변 부탁드립니다.
- HPLC
- Gradient
- Blank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8-12- 3
첨부된 크로마토그램을 보니 gradient 후반부에 피크가 나타나는 군요. 완충용액 제조시 사용한 시약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수는 없지만 일단 세척을 시도해 보싶시요. gradient의 경우 유기용매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물보다는 유기용매의 양이 많은 조성으로 흘려줘서 세척하는 것이 이 경우 올바른 접근법이라 하겠습니다. 만약 gradient의 조성이 제 예측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라면 물의 농도가 높은 이동상으로 해주는 것이 맞구요. 하지만 이미 물로 씻어보셨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신 걸로 봐선 제 예측이 맞을 것 같네요. MeOH를 사용하셨는지 아니면 ACN을 사용하셨는지 모르지만 50:50 정도의 비율로 혼합한 이동상이나 gradient의 최종 비율 조성으로 세척해보시길 권합니다. injection port 세척하시는 것도 잊지 마시고 해보세요. 오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8-11- 0
어떤 컬럼을 사용하셨는지 모르겠지만 물로만 씻는 방법은 컬럼에 좋지 않습니다. 컬럼에 무리가 많이 값니다. 컬럼에 문제가 없는 상태라면 사용하신 용매, 시약 등을 점검해보셔야 합니다. 가장 쉬운방법으로는 컬럼 대신 유니온으로 연결한 상태(컬럼을 뺀 상태)에서 같은 조건으로 blank 테스트를 해보세요. 그러면 컬럼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사용한 시약이나 용매의 문제인지 알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샘플링 루프 같은 곳에 오염이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고, 밸브 등의 이상으로 피크가 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찬찬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8-11- 0
>HPLC 에서 새 column 으로 이동상 80/20으로 흘려주고 >Gradient 로 분석을하는데, 지금 첨부한 data는 Blank 입니다. > 13~ 20 min 까지 나오는 애들을 뭐라고 해석해야할지 난감합니다, >어찌 씻어줘야할지,, > >그래서 물로 한시간정도 씻어주고 >다시 이동상 80/20으로 을려주고 blank를 찍어봤는데도 그대로이네요.. > >이동상은 50mM Sodiumperchloric acid(pH2.5)/ ACN 우선 그림이 첨부되지 않아서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new 컬럼이라면 아무래도 이동상인 sodium perchloric acid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gradient를 사용하게 되면 gradient가 걸리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이동상 조성이 변동이 생겨서 base line이 안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pH 2.5조건이라면 그럴 가능성이 커집니다. UV 파장을 가장 짧은 파장을 사용하지 마시고 next max. 파장을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