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산소관능기와 전자의 이동

안녕하세요 다른게 아니라 전기화학적 측면에서 궁금한 것이 있어 이렇게 질문올립니다. 어떤 물체 표면이 카본으로 이루어져있고 그기에 산소관능기(C=O, C-OH 등)가 붙게되면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고 전자를 잡아주어 그 물체의 저항을 높여준다는 내용의 논문을 보았습니다. 정확히 왜 그런지가 궁금하네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참고자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산소관능기
  • 전자
  • 이동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산소가 탄소보다 전자에 대한 친화력, 즉 전기음성도가 높으니 전자를 잡아 끌테니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또 표면이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아마도 그래파이트 유사구조를 나타낸다는 뜻을텐데.... 그러한 산소 기능단이 존재하면 연속적인 pi-conjugation이 깨져 전자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산소가 탄소보다 전자에 대한 친화력, 즉 전기음성도가 높으니 전자를 잡아 끌테니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또 표면이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아마도 그래파이트 유사구조를 나타낸다는 뜻을텐데.... 그러한 산소 기능단이 존재하면 연속적인 pi-conjugation이 깨져 전자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전자 부착이 일어나기 쉬운 원자의 전자친화력을 보면, 할로겐 족인 F:3.95eV,Cl:3.70, Br:3.54,I:3.22이며, 산소 역시 O:3.80eV로써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산소원자에 포획되어 전자 부착이 일어나게 됩니다.
    전자 부착이 일어나기 쉬운 원자의 전자친화력을 보면, 할로겐 족인 F:3.95eV,Cl:3.70, Br:3.54,I:3.22이며, 산소 역시 O:3.80eV로써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산소원자에 포획되어 전자 부착이 일어나게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