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KOH농도별(%) 전기전도도 측정 데이타 있으신 분 알려주세요.

KOH 농도별(%)로 전기전도도 값이 어떻게 되는지 자료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전기전도도
  • KOH농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KOH 농도별(%)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고 있는 table은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첨부 자료와 같이 전기전도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거의 유사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KOH가 이온으로 해리하게 되면 K+ 와 OH-로 이온해리하게 되는데, K+는 음극쪽으로 이동하며, OH-는 양극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따라서 각기 다른 전극쪽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충돌하게 됩니다.이러한 충돌 값을 뺀 나머지 값이 전기전도도가 됩니다. 1 molar mass의 K+이온의 전기 전도도는 0.0735이며, OH-는 전도도가 높은 값인 0.1986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1mol wt의 KOH는 (0.1986)-(0.0735)=0.1251인 값을 가집니다. 이에 따라 계산하여 table을 만들면 필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용액의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가 있으나 이는 여기에서 무시하는 것으로 합니다.
    >KOH 농도별(%)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고 있는 table은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첨부 자료와 같이 전기전도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거의 유사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KOH가 이온으로 해리하게 되면 K+ 와 OH-로 이온해리하게 되는데, K+는 음극쪽으로 이동하며, OH-는 양극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따라서 각기 다른 전극쪽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충돌하게 됩니다.이러한 충돌 값을 뺀 나머지 값이 전기전도도가 됩니다. 1 molar mass의 K+이온의 전기 전도도는 0.0735이며, OH-는 전도도가 높은 값인 0.1986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1mol wt의 KOH는 (0.1986)-(0.0735)=0.1251인 값을 가집니다. 이에 따라 계산하여 table을 만들면 필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용액의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가 있으나 이는 여기에서 무시하는 것으로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