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07
org.kosen.entty.User@56e1e450
김진훈(sinaspia)
- 1
안녕하세요.
이번에 인삼에서 Ginsenoside를 추출하여,
HPLC로 정성 정량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추출은 처음 시도하는 거라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싶어요.
관련 논문을 찾아봤는데 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더라구요.
일단 질문은 3가지 예요.
1. 자세한 추출 과정에 대한 내용
2. 추출 용액을 0.45㎛ membrane filter에 필터링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필터 제품명 (구입하기 위함)
3. 극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어떤 제품을 구입해야 하는지요?
답변 기다릴께요 ^^;;
- 인삼
- Ginsenoside
- HPL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10-07- 2
Ginsenoside 추출은 천연물에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과정과 유사합니다. 1. 한마디로 탕약다리듯이 가열을 해서 끊이거나 초음파를 인가해서 활성물질이 우러 나오도록 하는 겁니다. 보통은 알콜계 용매를 사용해서 하구요. 이미 논문을 찾아 보셨다니.... 그 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2. 추출 용액을 여과할 때 사용하는 0.45㎛ membrane filter는 어느 메이커를 사용해도 무방 합니다. 보통 gelman, waters, agilent, milipore 등의 제품을 사용합니다. 재질과 형태가 다양한데요... 그 중에서 주사기 끝에 끼워서 사용하는 형태의 syringe filter가 사용하시기 편할 겁니다. 수십 ml 정도는 처리가 가능합니다. 처리할 용액의 부피에 따라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구입할 메이커의 카달로그를 살피셔야 합니다. 재질은 비싸긴 해도 PTFE가 좋습니다. 오염도 적고, 내화학성도 우수하고...등등 친수성과 소수성 2가지가 있는데.... 친수성은 수용액과 유기용매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소수성은 유기용매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출액을 처리하실거라면 친수성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3. 극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보통 SPE 라고 하는 것을 사용합니다. 일종의 작은 흡착제 column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도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참고하신 논문에 정확한 메이커가 표기되어 있을 겁니다. 참고하실만한 문헌 하나를 첨부합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