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섬유의 손상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인데요. 섬유의 손상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요. 산성에 의한 손상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하던 중에 뮤신성분을 섬유에 바르면 염산에 의한 손상을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허무맹랑 한가요? 그리고 섬유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화학적인 방법 있을까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은 인장강도밖에 없어요. 다른 질문은 다 수준이 높은데 이런 질문을 남기는 것이 부끄럽지만,,,, 도와주세요~~
  • 뮤신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하지만 섬유의 본질을 생각해 볼때 그렇게 이상적인 방법 같지는 않습니다. 섬유도 종류가 많아서, 어떤 섬유를 염산 처리할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모노섬유의 경우, 굵은 실 한가닥 이므로 뮤신성분 같은 물질로 확실하게 코팅을 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솔직히 뮤신으로 처리해본적은 저도 없으므로 장담할 수는 없고요) 하지만 염산 처리라는 것이 그냥 1초 정도 넣었다가 빼는 것이 아니라, 넣어서 몇시간 비이커에 넣고 교반시키는것 아닐까요? 보통 산처리 테스트는 이러한 프로토콜을 따르는데... 만약 그렇다면, 뮤신성분이 섬유에 화학적으로나 어떤 방법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다면, 뮤신성분은 씻겨나가서 섬유에 손상을 주게 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모노필라멘트에 강하게 결합을 시켜서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면, 가능할 것이고.. 그게 아니라 간단하게 뮤신성분을 표면에 바르는 정도라면, 효과가 없을것이고... 또한 일반적인 섬유는 멀티필라멘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여러가닥이 꼬여 있는 형태이므로 뮤신성분이 골고루 처리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뮤신처리된 외곽표면은 견딜지 몰라도 산성용액 상에서 테스트를 한다면 사이사이로 스며들어가서 내부 표면에 손상이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손상을 확인하시고 싶다면, 제일 쉬운 분석장비는 SEM 입니다. 일명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보시면 표면손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섬유연구실이나 섬유회사에서는 셈 현미경이 필수 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저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인데요. >섬유의 손상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요. >산성에 의한 손상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하던 중에 뮤신성분을 섬유에 바르면 염산에 의한 손상을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허무맹랑 한가요? >그리고 섬유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화학적인 방법 있을까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은 인장강도밖에 없어요. >다른 질문은 다 수준이 높은데 이런 질문을 남기는 것이 부끄럽지만,,,,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하지만 섬유의 본질을 생각해 볼때 그렇게 이상적인 방법 같지는 않습니다. 섬유도 종류가 많아서, 어떤 섬유를 염산 처리할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모노섬유의 경우, 굵은 실 한가닥 이므로 뮤신성분 같은 물질로 확실하게 코팅을 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솔직히 뮤신으로 처리해본적은 저도 없으므로 장담할 수는 없고요) 하지만 염산 처리라는 것이 그냥 1초 정도 넣었다가 빼는 것이 아니라, 넣어서 몇시간 비이커에 넣고 교반시키는것 아닐까요? 보통 산처리 테스트는 이러한 프로토콜을 따르는데... 만약 그렇다면, 뮤신성분이 섬유에 화학적으로나 어떤 방법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다면, 뮤신성분은 씻겨나가서 섬유에 손상을 주게 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모노필라멘트에 강하게 결합을 시켜서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면, 가능할 것이고.. 그게 아니라 간단하게 뮤신성분을 표면에 바르는 정도라면, 효과가 없을것이고... 또한 일반적인 섬유는 멀티필라멘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여러가닥이 꼬여 있는 형태이므로 뮤신성분이 골고루 처리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뮤신처리된 외곽표면은 견딜지 몰라도 산성용액 상에서 테스트를 한다면 사이사이로 스며들어가서 내부 표면에 손상이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손상을 확인하시고 싶다면, 제일 쉬운 분석장비는 SEM 입니다. 일명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보시면 표면손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섬유연구실이나 섬유회사에서는 셈 현미경이 필수 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저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인데요. >섬유의 손상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요. >산성에 의한 손상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하던 중에 뮤신성분을 섬유에 바르면 염산에 의한 손상을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허무맹랑 한가요? >그리고 섬유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화학적인 방법 있을까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은 인장강도밖에 없어요. >다른 질문은 다 수준이 높은데 이런 질문을 남기는 것이 부끄럽지만,,,, >도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