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L Spectroscopy

저온 PL 및 TR PL 에 관한 자료좀 부탁 드릴께요 ~ 그리리 저온 PL 및 TR PL 은 어느때 사용되죠 ?? 반도체 및 LED 에서 사용되는 분야 및 이것을 측정 함으로써 어떤 것을 얻을 수 있나요 ?
  • PL spectroscopy
  • 저온 PL
  • TR P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태용님의 답변

    Photoluminescence는 빛에 자극에 따른 또다른 빛의 발생을 의미합니다. 주로 이러한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에너지 구조 (energy band)나 불순물의 에너지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외의 자극 요인에 따르는 electroluminescence, cathodoluminescence의 발광과정도 있습니다. 전광소자(optoelectronic device)나 LED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photoluminescence를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인 전광소자는 전원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빛을 발생하게 되는데,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과정까지 마치고 난 후에 소자를 시험하게 되면 여러 가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원하는 파장(색깔)의 빛이 발생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극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photoluminescence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물론 전류를 흘려서 발생하는 빛 (electroluminescence)과는 특성이 다릅니다만 그 거동을 확인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TR PL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photoluminescence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하여 에너지 구조와 시간에 따른 응답을 알아낼 수가 있습니다.
    Photoluminescence는 빛에 자극에 따른 또다른 빛의 발생을 의미합니다. 주로 이러한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에너지 구조 (energy band)나 불순물의 에너지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외의 자극 요인에 따르는 electroluminescence, cathodoluminescence의 발광과정도 있습니다. 전광소자(optoelectronic device)나 LED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photoluminescence를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인 전광소자는 전원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빛을 발생하게 되는데,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과정까지 마치고 난 후에 소자를 시험하게 되면 여러 가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원하는 파장(색깔)의 빛이 발생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극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photoluminescence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물론 전류를 흘려서 발생하는 빛 (electroluminescence)과는 특성이 다릅니다만 그 거동을 확인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TR PL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photoluminescence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하여 에너지 구조와 시간에 따른 응답을 알아낼 수가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