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5
org.kosen.entty.User@1bb2e12
황배진(jins119)
- 1
여러 전문가 및 학문을 연구하시는 회원님들
연일 수고가 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는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석사 학위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 입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PVD(화학기상증착법)에 대해 요즘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 PVD라는 것이 나노 코팅 처리를 하는 것이며, 코팅시
N 가스와 Ti , Cr 등이 반응을 해서 진공에서 목표물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경우 내산성,마모도가 다른 표면처리 기술에 비해 아주 좋으며,
또한 요즘 핸드폰이나 금형 등에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코팅을 하고나서 불량을 다시 재코팅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저의 실험 결과 PVD 코팅은 내산성도가 좋지만 과산화수소와 코팅이
박리 되는 것으로 일단 결론이 났습니다.
이로 인해 코팅이 잘 분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렇경우 SUS에 반응하여 표면 조도가 나빠지며,
반응 시간이 너무 길다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그래서 이 CrN 코팅을 좀 더 효과적으로(반응 시간 및 SUS표면 조도 향상)
박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궁금해서 이렇게 문의를 드립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 PVD
- 박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병철님의 답변
2010-10-26- 0
>여러 전문가 및 학문을 연구하시는 회원님들 >연일 수고가 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는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석사 학위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 입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PVD(화학기상증착법)에 대해 요즘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 PVD라는 것이 나노 코팅 처리를 하는 것이며, 코팅시 >N 가스와 Ti , Cr 등이 반응을 해서 진공에서 목표물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경우 내산성,마모도가 다른 표면처리 기술에 비해 아주 좋으며, >또한 요즘 핸드폰이나 금형 등에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코팅을 하고나서 불량을 다시 재코팅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저의 실험 결과 PVD 코팅은 내산성도가 좋지만 과산화수소와 불산에는 코팅이 >박리 되는 것으로 일단 결론이 났습니다. >불산의 경우 유리를 녹이는 성질이며, 이로 인해 코팅이 잘 분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렇경우 불산이 SUS에 반응하여 표면 조도가 나빠지며, >반응 시간이 너무 길다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그래서 이 CrN 코팅을 좀 더 효과적으로(반응 시간 및 SUS표면 조도 향상) >박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궁금해서 이렇게 문의를 드립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보통은 샌딩(또는 블라스팅) 처리를 하여 박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sus의 경우는, 투사재로 white aluminum oxide나 glass bead를 주로 사용하고, 정밀제품의 경우는 간혹 ceramic bead를 사용하기도 하며, 빠른 처리와 조모 문제를 위해서는 sus bead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화학적에칭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쪽은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샌딩으로 검색하여 보시면 구체적인 정보가 많이 나와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발저스같은 코팅회사들의 홈피도 검색해보세요... 그럼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