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미생물 항균 실험 질문입니다.

첨부파일


P. mirabilis KCTC 2510 미생물로 항균 실험, paper disk diffusion assay를 수행 했습니다. 시험 농도는 50%, 100% 인데요.. 아래 보시는것처럼 생장억제환이 이중으로 측정 되었습니다. 왜 이런거죠????;;;; 항균 실험 하면서 이런 결과는 처음입니다 ;;; 원인을 모르겠어요 ;; 오염 된 것은 아니구요~~~ 도와주세요 ㅠ
  • 미생물
  • 항균
  • 생장억제환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P. mirabilis KCTC 2510 미생물로 항균 실험, >paper disk diffusion assay를 수행 했습니다. >시험 농도는 50%, 100% 인데요.. > >아래 보시는것처럼 생장억제환이 이중으로 측정 되었습니다. > >왜 이런거죠????;;;; > >항균 실험 하면서 이런 결과는 처음입니다 ;;; >원인을 모르겠어요 ;; 오염 된 것은 아니구요~~~ >도와주세요 ㅠ Paper disc를 media에 한번 로딩했다가 분리한적이 있나요? 아니면, 항생제가 완전히 녹지 않은 상태에서 disc에 묻힌거 아닌지요..
    >P. mirabilis KCTC 2510 미생물로 항균 실험, >paper disk diffusion assay를 수행 했습니다. >시험 농도는 50%, 100% 인데요.. > >아래 보시는것처럼 생장억제환이 이중으로 측정 되었습니다. > >왜 이런거죠????;;;; > >항균 실험 하면서 이런 결과는 처음입니다 ;;; >원인을 모르겠어요 ;; 오염 된 것은 아니구요~~~ >도와주세요 ㅠ Paper disc를 media에 한번 로딩했다가 분리한적이 있나요? 아니면, 항생제가 완전히 녹지 않은 상태에서 disc에 묻힌거 아닌지요..

    paper disc를 로딩했다가 분리한적은 없구요~~~
    시험 시료는 액상으로 나오는 제품이라 용해하구 그러진 않았구요~~
    액상에 있는 어떤 성분들이 일차 이차 이렇게 선택적으로 반응을 해서 그럴까요???
    'ㅁ' 음 음 궁금해요 ~~`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P. mirabilis KCTC 2510 미생물로 항균 실험, >paper disk diffusion assay를 수행 했습니다. >시험 농도는 50%, 100% 인데요.. > >아래 보시는것처럼 생장억제환이 이중으로 측정 되었습니다. > >왜 이런거죠????;;;; > >항균 실험 하면서 이런 결과는 처음입니다 ;;; >원인을 모르겠어요 ;; 오염 된 것은 아니구요~~~ >도와주세요 ㅠ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용액상태의 항생제가 화학반응을 했다고 볼수는 없을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clear zone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죠.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힘들겠지만, 다음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유추해 봅니다. 로딩한 항생제에 resistant한 유전자가 발현되어 일종의 mutant 형성된 것이 아닌가 싶네요..같은 테스트를 다시 한번 해서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지 확인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P. mirabilis KCTC 2510 미생물로 항균 실험, >paper disk diffusion assay를 수행 했습니다. >시험 농도는 50%, 100% 인데요.. > >아래 보시는것처럼 생장억제환이 이중으로 측정 되었습니다. > >왜 이런거죠????;;;; > >항균 실험 하면서 이런 결과는 처음입니다 ;;; >원인을 모르겠어요 ;; 오염 된 것은 아니구요~~~ >도와주세요 ㅠ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용액상태의 항생제가 화학반응을 했다고 볼수는 없을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clear zone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죠.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힘들겠지만, 다음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유추해 봅니다. 로딩한 항생제에 resistant한 유전자가 발현되어 일종의 mutant 형성된 것이 아닌가 싶네요..같은 테스트를 다시 한번 해서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지 확인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고민해주셔서 감사해요 ^^~~
    P. mirabilis KCTC 2510 이외의 총 10종의 미생물에 관하여, 위의 시험 시료에관하여 동일한
    농도로 동일한 실험을 수행했었는데요...
    생장억제환이 P. mirabilis KCTC 2510의 경우와 동일한 형태 선명하게 측정되진 않았으나,
    유사한 패턴의 생장억제환이 측정되었습니다.

    disk 주변은 시험 미생물이 배양되지만, 그 이후에 생장억제환 zone이 확인됩니다 ;;;
    도너츠 모양? 이라구 해야 할까요??;;
    ㅎㅎㅎ 시험시료 제품의 특성인가봅니다 ;;
    원인은 알수없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