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16
org.kosen.entty.User@2d88a60
임대성(blackphenix)
- 2
안녕하세요.^^
워컵에 관하여 질문 할라고하는데요.
유기물질 반응후에 워컵으로 유기물질을 유기층으로 보내서 추출하잖습니까.
그때,유기용매와 증류수를 넣고 물층을 버리고
NaHCO3, citric acId, NH4Cl, Brine을 넣잖습니까.
이러한 물질을 넣는지 알고싶습니다^^
- 유기합성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11-16- 0
work-up은 말 그대로 화학반응을 마무리하는 단계 입니다. 반응에 필요한 물질들을 혼합하여 반응을 일으킨 후에 반응이 완료되고 나면 생성물 이외의 다른 물질은 필요없게 됩니다. 따라서 work-up 과정을 통해 필요한 물질만 뽑아내게 되는 겁니다. work-up 후에는 특별히 생성물의 순도를 높이는 정제(purification) 과정이 이어지기도 합니다. 생각하기에 따라선 정제과정도 work-up의 일부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말씀하신 추출법의 경우 NaHCO3, citric acId, NH4Cl, Brine을 넣는 이유는 여러가지 입니다만 대략 다음의 목적이 있습니다. 1. pH 조절 : pH에 따라 생성물 또는 불필요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추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Salting out : 유기층으로 추출하려고 할 경우 생성물이 물에 대해 용해도가 있으면 염을 넣어 물층 밖으로 밀어낼 수 있죠.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11-17- 0
>안녕하세요.^^ > >워컵에 관하여 질문 할라고하는데요. > >유기물질 반응후에 워컵으로 유기물질을 유기층으로 보내서 추출하잖습니까. > >그때,유기용매와 증류수를 넣고 물층을 버리고 >NaHCO3, citric acId, NH4Cl, Brine을 넣잖습니까. > >이러한 물질을 넣는지 알고싶습니다^^ NaHCO3의 경우는 산성용액을 염기성을 중화시킬때 사용하지만 다량으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carboxyl group을 가지고 있는 product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p-nitrotolune을 원료로 한 p-nitrobenzoic acid 합성시에 p-nitrobenzoic acid에 NaHCO3를 첨가해 주게되면 R-COONa form과 CO2가 형성되게 되어 이로서 p-nitrobenzoic acid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aCl같은 brine의 경우는, 보통 saturated NaCl을 사용하는데, 물층과 유기층이 잘 분리되지 않을 때 첨가하게 되면 층 분리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사용합니다.
실험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느껴 궁금증이 생길때마다 글을 올리면 친절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