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oxhlet extraction에 대해서

첨부파일


soxhlet extraction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일까요? 저는 glass bead표면을 PAA로 코팅하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자료를 찾다보니 PAA를 표면에 grafting시킨 glass bead를 최종적으로 soxhlet extraction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본문에 보면 methanol and acetone(v/v=1:1)로 한다고도 나와 있더군요. 네이버 백과사전에 soxhlet extractor에 대해 찾아보니 어떤 용매를 증발시키면 발생하는 증기와 시료가 접촉하는 것으로 나와 있는데 왜 그렇게 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soxhlet extraction
  • glass bead
  • PA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soxhlet extraction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일까요? >저는 glass bead표면을 PAA로 코팅하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자료를 찾다보니 PAA를 표면에 grafting시킨 glass bead를 최종적으로 soxhlet extraction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본문에 보면 methanol and acetone(v/v=1:1)로 한다고도 나와 있더군요. 네이버 백과사전에 soxhlet extractor에 대해 찾아보니 어떤 용매를 증발시키면 발생하는 증기와 시료가 접촉하는 것으로 나와 있는데 왜 그렇게 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Soxhlet extraction은 고체나 반고체 시료로부터 반휘발성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추출법의 원리는 밑부분은 추출용매를 담고 외부의 열을 받아 용매를 끓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가장 위쪽에는 밑에서 끓어 올라온 용매를 냉각하여 액체로 되돌리는 냉각기가 있고, 중간부분에는 추출할 대상물체가 있을 용기가 있으며 그 곳으로 냉각기에서 떨어지는 용매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추출과정은 먼저 밑의 용매가 끓어서 증기로 되어 올라가 냉각기에서 냉각되어 액체로 되며, 그 액체, 즉 용매는 추출 대상물체가 담긴 용기로 떨어져 들어가게 되는데, 그 곳에서 용매는 원하는 물질을 추출해 내고, 그 용매가 차올라 용기를 넘쳐흐르게 되면 밑의 끓는 용매속으로 떨어지게 되며, 밑에서는 계속 용매가 끓으면서 증기로 되어 위로 올라가고, 동시에 위에서 추출된 성분을 포함한 용매가 순환되어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밑에서는 추출된 성분이 계속 농축이 되고, 중간의 추출용기에서는 계속 새로운 용매가 추출성분을 추출해 밑으로 보내는 방식입니다. 추출시간을 길게하면서 대상물체로부터 원하는 성분을 소량의 용매만을 사용하여 손실없이 완전히 추출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궁금해 하신 증기와 시료가 접촉한다는 것은 약간의 혼동이 있는거 같습니다. 실제적으로는 증기와 시료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용매에 열을 가해서 가장 윗 부분에서 다시 액체로 응축된 용매가 시료와 접촉해서 원하는 성분을 추출해 내게 됩니다. 아마도 MeOH과 ACN이 polyacrylic acid로 grafted된 glass bead를 추출해 내가 위해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soxhlet extraction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일까요? >저는 glass bead표면을 PAA로 코팅하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는데 자료를 찾다보니 PAA를 표면에 grafting시킨 glass bead를 최종적으로 soxhlet extraction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본문에 보면 methanol and acetone(v/v=1:1)로 한다고도 나와 있더군요. 네이버 백과사전에 soxhlet extractor에 대해 찾아보니 어떤 용매를 증발시키면 발생하는 증기와 시료가 접촉하는 것으로 나와 있는데 왜 그렇게 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Soxhlet extraction은 고체나 반고체 시료로부터 반휘발성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추출법의 원리는 밑부분은 추출용매를 담고 외부의 열을 받아 용매를 끓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가장 위쪽에는 밑에서 끓어 올라온 용매를 냉각하여 액체로 되돌리는 냉각기가 있고, 중간부분에는 추출할 대상물체가 있을 용기가 있으며 그 곳으로 냉각기에서 떨어지는 용매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추출과정은 먼저 밑의 용매가 끓어서 증기로 되어 올라가 냉각기에서 냉각되어 액체로 되며, 그 액체, 즉 용매는 추출 대상물체가 담긴 용기로 떨어져 들어가게 되는데, 그 곳에서 용매는 원하는 물질을 추출해 내고, 그 용매가 차올라 용기를 넘쳐흐르게 되면 밑의 끓는 용매속으로 떨어지게 되며, 밑에서는 계속 용매가 끓으면서 증기로 되어 위로 올라가고, 동시에 위에서 추출된 성분을 포함한 용매가 순환되어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밑에서는 추출된 성분이 계속 농축이 되고, 중간의 추출용기에서는 계속 새로운 용매가 추출성분을 추출해 밑으로 보내는 방식입니다. 추출시간을 길게하면서 대상물체로부터 원하는 성분을 소량의 용매만을 사용하여 손실없이 완전히 추출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궁금해 하신 증기와 시료가 접촉한다는 것은 약간의 혼동이 있는거 같습니다. 실제적으로는 증기와 시료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용매에 열을 가해서 가장 윗 부분에서 다시 액체로 응축된 용매가 시료와 접촉해서 원하는 성분을 추출해 내게 됩니다. 아마도 MeOH과 ACN이 polyacrylic acid로 grafted된 glass bead를 추출해 내가 위해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soxhlet extraction에 대해선 앞서 답변하신 분의 설명이 맞습니다. 질문하신 분이 혼동하신 듯 합니다. 메탄올과 아세톤을 이용한 추출은 아마도 polymerization 과정에서 사용된 단량체와 그 밖의 화학물질들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로는 용매가 극성 물질들을 잘 녹일 수 있는 극성 용매이고, functionalized glass bead 제조과정에서 사용한 물질들도 대부분 극성물질이라는 점입니다.
    soxhlet extraction에 대해선 앞서 답변하신 분의 설명이 맞습니다. 질문하신 분이 혼동하신 듯 합니다. 메탄올과 아세톤을 이용한 추출은 아마도 polymerization 과정에서 사용된 단량체와 그 밖의 화학물질들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로는 용매가 극성 물질들을 잘 녹일 수 있는 극성 용매이고, functionalized glass bead 제조과정에서 사용한 물질들도 대부분 극성물질이라는 점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