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크로마토 그래피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일반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는 이동상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일 경우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기체일 경우,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류됩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샘플 분리 후 검출 방법은 UV, Fluorescence, Electron chemical detection(특히, flavonoid 계통 측정에 많이 이용됨)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측정원리는 분석물질이 UV를 흡수할 수 있는 chromophore를 가지고 있을 경우, UV detector에서 검출이 가능하고 형광을 가지고 있으면 fluorescence detector에서 검출이 가능하고, 특정 에너지를 가했을 때, 전자를 쉽게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은 ECD에서 검출이 가능합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중 TLC(thin-layer chromatography)는 용매로 전개후에 spraying agent로 분사시켜서 발색반응으로 보기도 하고(예로, phosphate를 가지고 있는 물질은 ammonium molybdate용액으로 분사시 파란색을 띄게 됩니다), 발색단이 없는 분석물질에 따라서는 오븐에 태워서(charring) 확인하기도 합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는 불꽃이온화검출기(불꽃반응으로 발생되는 이온들을 검출, FID), 열이온화검출기(TID), 광이온화검출기(PID), 전자포획검출기(ECD) 등이 많이 사용됩니다.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일반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는 이동상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일 경우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기체일 경우,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류됩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샘플 분리 후 검출 방법은 UV, Fluorescence, Electron chemical detection(특히, flavonoid 계통 측정에 많이 이용됨)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측정원리는 분석물질이 UV를 흡수할 수 있는 chromophore를 가지고 있을 경우, UV detector에서 검출이 가능하고 형광을 가지고 있으면 fluorescence detector에서 검출이 가능하고, 특정 에너지를 가했을 때, 전자를 쉽게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은 ECD에서 검출이 가능합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중 TLC(thin-layer chromatography)는 용매로 전개후에 spraying agent로 분사시켜서 발색반응으로 보기도 하고(예로, phosphate를 가지고 있는 물질은 ammonium molybdate용액으로 분사시 파란색을 띄게 됩니다), 발색단이 없는 분석물질에 따라서는 오븐에 태워서(charring) 확인하기도 합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는 불꽃이온화검출기(불꽃반응으로 발생되는 이온들을 검출, FID), 열이온화검출기(TID), 광이온화검출기(PID), 전자포획검출기(ECD) 등이 많이 사용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액체 혹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경우 여러가지 화합물이 섞어 있는 경우 분리하여 어떤 물질 어느 정도 함유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입니다. 섞어 있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컬럼을 이용하는데, 컬럼은 물질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게 됩니다. 컬럼(정지상)을 일정하게 이동하기 시키기 위해 이동상(가스 혹은 액체)을 일정하게 샘플과 함께 공급하죠. 그러면, 컬럼의 끝단에서는 다른 시간에 물질이 나오게 됩니다. 이 물질을 어떤 검출기을 사용하여 물질이 나오는 것을 파악합니다. 검출기마다 물질을 감지하는 정도가 다르게 때문에 적당한 검출기를 사용해야죠. ( 특히 UV 검출기는 선택파장에 따라 검출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포토다이오드(전파장을 검출)라는 검출기 사용하기도 합니다.)
    액체 혹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경우 여러가지 화합물이 섞어 있는 경우 분리하여 어떤 물질 어느 정도 함유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입니다. 섞어 있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컬럼을 이용하는데, 컬럼은 물질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게 됩니다. 컬럼(정지상)을 일정하게 이동하기 시키기 위해 이동상(가스 혹은 액체)을 일정하게 샘플과 함께 공급하죠. 그러면, 컬럼의 끝단에서는 다른 시간에 물질이 나오게 됩니다. 이 물질을 어떤 검출기을 사용하여 물질이 나오는 것을 파악합니다. 검출기마다 물질을 감지하는 정도가 다르게 때문에 적당한 검출기를 사용해야죠. ( 특히 UV 검출기는 선택파장에 따라 검출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포토다이오드(전파장을 검출)라는 검출기 사용하기도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간단히 설명하면 연속적인 분배작용을 이용해서 물질을 혼합물로 부터 분리하는 기술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지만 단 몇 줄로 설명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HPLC기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된 좋은 사이트를 하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http://hplc.chem.shu.edu/HPLC/index.html
    간단히 설명하면 연속적인 분배작용을 이용해서 물질을 혼합물로 부터 분리하는 기술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지만 단 몇 줄로 설명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HPLC기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된 좋은 사이트를 하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http://hplc.chem.shu.edu/HPLC/index.htm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