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박희수님의 답변
2010-12-07- 0
안전밸트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몸이 움직여도 고정하려고 하는 관성의 성질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안전밸트는 관성의 법칙 적용의 예가 됩니다. >관성의 법칙 적용의 예로서 안전밸트가 있는데 왜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2010-12-08- 0
사이언스굿닷컴에 가서 보면 그림과 같이 잘 나와 있습니다. http://www.sciencegood.com/remain.php 안전벨트 내부에는 평시에는 풀리지만 사고시에는 잠기는 장치가 있습니다. 그것은 ELR(Emergency Locking Retractor)장치인데 내부구조는 무게추를 이용해서 사고시 관성에 의해 무게추가 앞으로 쏠리면 안전벨트 풀림을 잠그는 구조입니다. >관성의 법칙 적용의 예로서 안전밸트가 있는데 왜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10-12-08- 0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1849년 볼보 자동차가 처음으로 개발하였고, 현대의 3점식 안전벨트는 1959년 볼보 자동차의 닐스 볼린이 발명하여 1962년 미국에서 특허가 났습니다. (특허번호 US Patent 3043625) 이 특허를 읽어보면 3점식에 대한 특허이지 작동원리는 없습니다. 많은 자동차 전문지와 학교의 물리교재에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하고 있는 예를 여기 저기 퍼나르면서 인용하는데 잘못된 설명입니다. 물론 관성의 법칙으로 작동하는 안전벨트가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에서 안전벨트를 맨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빨리 잡아당기면 안전벨트가 잠겨 더 이상 나오지 않는 현상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어떻게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하는지 궁금합니다.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하는 안전벨트에는 균형추가 있어 가속도가 생겼을 때 균형추의 아래가 앞으로 나가면서 톱니바퀴를 멈추는 장치(래치라고 함)가 물려서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요즈음은 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예는 안전벨트가 돌아가는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바깥으로 스토퍼가 나가면서 톱니바퀴에 물려 더 이상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장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동차에 장착이 되어 있는 것으로 벨트가 풀리는 속도가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작동합니다. 따라서 자동차가 급제동을 하면서 사람이 앞으로 쏠려 벨트가 빨리 풀리면 이 장치가 작동합니다. 안전벨트를 빨리 잡아당기면 잡기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성의 법칙 적용의 예로서 안전밸트가 있는데 왜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2010-12-08- 0
첨부파일
안전벨트를 만드는 데 있어서 관성 혹은 원심력을 이용하기도 하죠. 질문이 안전벨트와 관성이 어떤 관계라는 것이라서 그런 답이 나오지 않았나 쉽네요. 첨부된 파일을 보시면 관성과 원심력을 이용한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원심력을 이용한 비슷한 사례가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조속기이죠. 다른 예로는 회전하지 않는 요요는 빛이 나오지 않지만, 회전하는 요요는 빛이 나오는 것이 원심력을 이용한것이죠. >관성의 법칙 적용의 예로서 안전밸트가 있는데 왜 그런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