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H solution 어떻게 만드나요?

0.1M HCl(pH1), DI water(pH7),0.01NaOH(pH12)이렇게 3종류의 solution으로 각각의 pH가 pH3, pH4, pH5, pH6, pH8, pH9, pH10, pH11인 solution을 만들고 싶습니다. 어떤 비율로 섞어야 다음의 solution들을 만들수 있나요?
  • pH
  • 측정
  • 전기화학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산성 영역의 용액은 어떻게 된다고 해도 중성 이상의 용액은 3가지 용액만 가지고는 만들 수 없습니다.
    산성 영역의 용액은 어떻게 된다고 해도 중성 이상의 용액은 3가지 용액만 가지고는 만들 수 없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제 생각에는 HCl과 NaOH가 강산, 강염기이므로 각 pH 제조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0.1M HCl(pH1)1ml + 0.01NaOH(pH12) 10ml -> pH7이고, [H+] 또는 [OH-]의 농도가 1/10이 됨에 따라 pH가 1씩 변하므로, 1ml+10ml을 기본으로 넣어 pH7로 만들고 0.1M HCl(pH1)를 전체(첨가해주는 것 포함) volume의 10% (1.22ml) 추가 -> pH 2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1% (0.11ml) 추가 -> pH 3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0.1% (0.011ml) 추가 -> pH4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0.01% (0.0011ml) 추가 -> pH5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0.001% (0.00011ml) 추가 -> pH6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0.01% (0.0011ml) 추가 -> pH8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0.1% (0.011ml) 추가 -> pH9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1% (0.11ml) 추가 -> pH10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10% (1.22ml) 추가 -> pH11 강산 강염기의 중화적정곡선 (인터넷에서 검색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에서 보여지듯이, pH3~10 정도 범위에서는 아주 미세한 양에 의해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렇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시 틀릴수도 있으니, 다른 분들께도 의견 부탁드립니다. >0.1M HCl(pH1), DI water(pH7),0.01NaOH(pH12)이렇게 3종류의 solution으로 >각각의 pH가 pH3, pH4, pH5, pH6, pH8, pH9, pH10, pH11인 solution을 만들고 >싶습니다. 어떤 비율로 섞어야 다음의 solution들을 만들수 있나요? >
    제 생각에는 HCl과 NaOH가 강산, 강염기이므로 각 pH 제조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0.1M HCl(pH1)1ml + 0.01NaOH(pH12) 10ml -> pH7이고, [H+] 또는 [OH-]의 농도가 1/10이 됨에 따라 pH가 1씩 변하므로, 1ml+10ml을 기본으로 넣어 pH7로 만들고 0.1M HCl(pH1)를 전체(첨가해주는 것 포함) volume의 10% (1.22ml) 추가 -> pH 2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1% (0.11ml) 추가 -> pH 3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0.1% (0.011ml) 추가 -> pH4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0.01% (0.0011ml) 추가 -> pH5 0.1M HCl(pH1)를 전체 volume의 0.001% (0.00011ml) 추가 -> pH6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0.01% (0.0011ml) 추가 -> pH8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0.1% (0.011ml) 추가 -> pH9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1% (0.11ml) 추가 -> pH10 0.01M NaOH(pH12)를 전체 volume의 10% (1.22ml) 추가 -> pH11 강산 강염기의 중화적정곡선 (인터넷에서 검색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에서 보여지듯이, pH3~10 정도 범위에서는 아주 미세한 양에 의해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렇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시 틀릴수도 있으니, 다른 분들께도 의견 부탁드립니다. >0.1M HCl(pH1), DI water(pH7),0.01NaOH(pH12)이렇게 3종류의 solution으로 >각각의 pH가 pH3, pH4, pH5, pH6, pH8, pH9, pH10, pH11인 solution을 만들고 >싶습니다. 어떤 비율로 섞어야 다음의 solution들을 만들수 있나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