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EM 시편 제작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TEM 분석에 관하여 경험이 많이 얕은터라 많은 고수님들께 문의 드리겠습니다. 2차전지 셀 구동 후의 전극에 대해서 전극 표면의 몰폴로지 혹은 성분 변화, 활물질의 결정 격자 구조의 변화를 TEM으로 관찰을 할 수 있을까 해서 문의 드립니다. 전극은 도전재와 금속 산화물 활물질 과 바인더(PVdF) 솔루션을 슬러리 형태로 만든 후에 carbon paper 위에 슬러리를 바른 형태 입니다. 전극 구동 후의 carbon paper 위의 몰폴로지 변화의 관찰이 혹시 가능한지 묻고 싶습니다. 가능하다면 시편 제작의 방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 전극
  • carbon paper
  • slurr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모폴러지 관찰은 SEM(2D), AFM(3D) 성분변화 XPS 결정 격자구조 XRD, TEM TEM 시편은 간단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TEM분석이 가능한 곳에 시편제작까지 맡기는 것이죠. 하지만, 분석비용이 비싸서... 모폴러지를 관찰할려면 SEM 혹은 AFM으로 관찰하고 성분분석은 XPS으로 분석하고 SEM에 장착된 EDS은 원소분석이 됩니다. 결정구조은 XRD로 관찰하면 될 것같네요. 미세영역마다 결정구조가 다르다면 TEM으로 관찰해야 겠죠. > > 안녕하세요 TEM 분석에 관하여 경험이 많이 얕은터라 > > 많은 고수님들께 문의 드리겠습니다. > > 2차전지 셀 구동 후의 전극에 대해서 전극 표면의 몰폴로지 혹은 성분 변화, 활물질의 > > 결정 격자 구조의 변화를 TEM으로 관찰을 할 수 있을까 해서 문의 드립니다. > > 전극은 도전재와 금속 산화물 활물질 과 바인더(PVdF) 솔루션을 > > 슬러리 형태로 만든 후에 carbon paper 위에 슬러리를 바른 형태 입니다. > > 전극 구동 후의 carbon paper 위의 몰폴로지 변화의 관찰이 혹시 가능한지 > > 묻고 싶습니다. 가능하다면 시편 제작의 방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 >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모폴러지 관찰은 SEM(2D), AFM(3D) 성분변화 XPS 결정 격자구조 XRD, TEM TEM 시편은 간단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TEM분석이 가능한 곳에 시편제작까지 맡기는 것이죠. 하지만, 분석비용이 비싸서... 모폴러지를 관찰할려면 SEM 혹은 AFM으로 관찰하고 성분분석은 XPS으로 분석하고 SEM에 장착된 EDS은 원소분석이 됩니다. 결정구조은 XRD로 관찰하면 될 것같네요. 미세영역마다 결정구조가 다르다면 TEM으로 관찰해야 겠죠. > > 안녕하세요 TEM 분석에 관하여 경험이 많이 얕은터라 > > 많은 고수님들께 문의 드리겠습니다. > > 2차전지 셀 구동 후의 전극에 대해서 전극 표면의 몰폴로지 혹은 성분 변화, 활물질의 > > 결정 격자 구조의 변화를 TEM으로 관찰을 할 수 있을까 해서 문의 드립니다. > > 전극은 도전재와 금속 산화물 활물질 과 바인더(PVdF) 솔루션을 > > 슬러리 형태로 만든 후에 carbon paper 위에 슬러리를 바른 형태 입니다. > > 전극 구동 후의 carbon paper 위의 몰폴로지 변화의 관찰이 혹시 가능한지 > > 묻고 싶습니다. 가능하다면 시편 제작의 방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 >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