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KOH 45%수용액을 M농도로 환산하면 몇 M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인터넷으로 검색을 했을때 여러가지 수치가 올라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어떤 분은 M농도를 %농도로 계산 할 수 없다고도 하는데, 혹시 문헌이나등에 명확히 나와있는 부분이 있으면 확실할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아시는 분은 꼭 연락해 주세요.
  • KOH
  • M농도
  • potassium hydri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KOH의 경우, 비중(밀도)이 2.055이므로 2055g/L=100%입니다. KOH 45%의 경우 Liter 당 2055x0.45=924.75g의 KOH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KOH의 분자량이 56이므로 924.75/56=16.5M 정도가 됩니다. (M농도는 Liter 당 mole 수이므로) (혹시 제 계산이 틀렸으면 다른 분께서 추가 답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농도 환산 공식 몇가지를 첨부하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농도 → 몰농도(M)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 분자량] = M 농도 2. %농도 → 노르말농도(N)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1g 당량의 무게] = N 농도 3. M농도 → N농도 공식 ☞ M 농도 * (H+농도 또는 OH-농도) = N 농도 4. 용해도 → %농도 공식 ☞ %농도 = [용해도 / (100 + 용해도)] * 100 % >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인터넷으로 검색을 했을때 여러가지 수치가 올라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어떤 분은 M농도를 %농도로 계산 할 수 없다고도 하는데, >혹시 문헌이나등에 명확히 나와있는 부분이 있으면 확실할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아시는 분은 꼭 연락해 주세요.
    KOH의 경우, 비중(밀도)이 2.055이므로 2055g/L=100%입니다. KOH 45%의 경우 Liter 당 2055x0.45=924.75g의 KOH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KOH의 분자량이 56이므로 924.75/56=16.5M 정도가 됩니다. (M농도는 Liter 당 mole 수이므로) (혹시 제 계산이 틀렸으면 다른 분께서 추가 답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농도 환산 공식 몇가지를 첨부하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농도 → 몰농도(M)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 분자량] = M 농도 2. %농도 → 노르말농도(N)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1g 당량의 무게] = N 농도 3. M농도 → N농도 공식 ☞ M 농도 * (H+농도 또는 OH-농도) = N 농도 4. 용해도 → %농도 공식 ☞ %농도 = [용해도 / (100 + 용해도)] * 100 % >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인터넷으로 검색을 했을때 여러가지 수치가 올라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어떤 분은 M농도를 %농도로 계산 할 수 없다고도 하는데, >혹시 문헌이나등에 명확히 나와있는 부분이 있으면 확실할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아시는 분은 꼭 연락해 주세요.

    비중을 사용하는 환산 공식의 경우 %농도의 단위 또는 비중이 용질의 값인지 아니면 용액의 값인지에 따라 틀린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KOH 예는 용액의 밀도(또는 비중)를 적용해야 정확한 값이 얻어지는데.... KOH 밀도를 적용하셔서 계산이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 버렸네요.

    김동현(uri97) 2010-12-23

    그렇군요. 덧글 감사합니다. ^^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문헌적 근거를 요청하셨는데.....드릴 것 없군요. 분석화학 교과서를 찾아 보시면 될텐데요. 답변부터 드리겠습니다. 몰농도든 %농도든 상호변환이 가능합니다. 물론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용액의 비중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농도 값으로부터 용액이 포함하고 있는 용질의 양을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용액에 포함된 용질의 양만 알면 다른 농도 단위로 환산하는 것은 정의만 알면 되니까 쉽습니다. %농도의 경우 wt/wt %, wt/vol %, vol/vol % 세 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단위 부터 확실히 해야 합니다. 보통 고체나 액체를 물 같은 용매에 녹인 용액의 경우 wt/wt %나 wt/vol %로 농도를 표현 합니다. 액체/액체 혼합물의 경우엔 vol/vol %로 농도를 흔히 표현하죠. wt/vol %의 경우 용액의 단위부피당 포함되어 있는 용질의 질량을 쉽게 알수 있기 때문에 비중을 몰라도 몰농도로 쉽게 환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wt/wt %는 용액의 비중을 알아야하고, vol/vol %는 용질의 비중을 알아야 몰농도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이는 몰농도 개념 자체가 용액 1 리터당 들어 있는 용질의 몰수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몰농도를 % 농도로 환산하는 경우에도 용액의 비중을 알아야 용액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부피와 질량을 알 수 있으므로 %농도로 환산이 가능해집니다.
    문헌적 근거를 요청하셨는데.....드릴 것 없군요. 분석화학 교과서를 찾아 보시면 될텐데요. 답변부터 드리겠습니다. 몰농도든 %농도든 상호변환이 가능합니다. 물론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용액의 비중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농도 값으로부터 용액이 포함하고 있는 용질의 양을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용액에 포함된 용질의 양만 알면 다른 농도 단위로 환산하는 것은 정의만 알면 되니까 쉽습니다. %농도의 경우 wt/wt %, wt/vol %, vol/vol % 세 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단위 부터 확실히 해야 합니다. 보통 고체나 액체를 물 같은 용매에 녹인 용액의 경우 wt/wt %나 wt/vol %로 농도를 표현 합니다. 액체/액체 혼합물의 경우엔 vol/vol %로 농도를 흔히 표현하죠. wt/vol %의 경우 용액의 단위부피당 포함되어 있는 용질의 질량을 쉽게 알수 있기 때문에 비중을 몰라도 몰농도로 쉽게 환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wt/wt %는 용액의 비중을 알아야하고, vol/vol %는 용질의 비중을 알아야 몰농도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이는 몰농도 개념 자체가 용액 1 리터당 들어 있는 용질의 몰수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몰농도를 % 농도로 환산하는 경우에도 용액의 비중을 알아야 용액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부피와 질량을 알 수 있으므로 %농도로 환산이 가능해집니다.

    님이 답변한 내용이 45% KOH 수용액의 비중에 대한 내용은 전혀 없군요. 개인적으로 궁금한데 KOH 수용액 비중이 뭔가요?

    기초적인 개념입니다만... 궁금하시다니 설명드리죠. 비중은 동일 부피의 표준물질과의 질량비 입니다. 보통 표준물질이 물이니까 단위가 없는 밀도값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KOH용액의 비중값은 특별히 문헌값을 찾지 않아도 용액 일정부피의 무게를 측정하면 쉽게 얻을 수 있는 값입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앞서 답변을 적다 보니 계산예를 적어 드리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글을 올립니다. 진한 염산을 예를 들어 한번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진한염산은 35~38% 입니다만 ...... 36 wt/wt%로 계산합니다. 진한 염산의 밀도는 1.18 g/ml이고, 분자량은 36.46입니다. 진한 염산 1000 mL의 질량 = 1000 mL x 1.18 g/mL = 1180 g 진한 염산 1000 mL에 포함된 HCl의 질량 = 1180g x 36/100 = 424.8g 진한염산 1000 mL에 포함된 HCl의 몰수 = 11.65 진한 염산의 몰농도 = 11.65 mole/L = 11.65 M 반대로 11.654M 진한염산 1000 mL에 포함된 HCl의 질량 = 11.654xxx mole/L x 36.45 g/mole = 424.8 g/L 11.65M 진한염산 1000 mL의 전체 질량 = 1000 mL x 1.18 g/mL = 1180 g 11.65M 진한 염산의 wt/wt % 농도 = 424.8 g/1180g x 100 = 36 %
    앞서 답변을 적다 보니 계산예를 적어 드리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글을 올립니다. 진한 염산을 예를 들어 한번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진한염산은 35~38% 입니다만 ...... 36 wt/wt%로 계산합니다. 진한 염산의 밀도는 1.18 g/ml이고, 분자량은 36.46입니다. 진한 염산 1000 mL의 질량 = 1000 mL x 1.18 g/mL = 1180 g 진한 염산 1000 mL에 포함된 HCl의 질량 = 1180g x 36/100 = 424.8g 진한염산 1000 mL에 포함된 HCl의 몰수 = 11.65 진한 염산의 몰농도 = 11.65 mole/L = 11.65 M 반대로 11.654M 진한염산 1000 mL에 포함된 HCl의 질량 = 11.654xxx mole/L x 36.45 g/mole = 424.8 g/L 11.65M 진한염산 1000 mL의 전체 질량 = 1000 mL x 1.18 g/mL = 1180 g 11.65M 진한 염산의 wt/wt % 농도 = 424.8 g/1180g x 100 = 36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http://blog.naver.com/food_study/110084784294'에 있는 자료에 따르면 KOH 45% 수용액 비중은 1.48 정도가 됩니다. 공식을 이용해서 계산하면,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 분자량] = M 농도 1.48*1000*0.45/56=11.89M 정도가 되네요. >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인터넷으로 검색을 했을때 여러가지 수치가 올라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어떤 분은 M농도를 %농도로 계산 할 수 없다고도 하는데, >혹시 문헌이나등에 명확히 나와있는 부분이 있으면 확실할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아시는 분은 꼭 연락해 주세요.
    'http://blog.naver.com/food_study/110084784294'에 있는 자료에 따르면 KOH 45% 수용액 비중은 1.48 정도가 됩니다. 공식을 이용해서 계산하면,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 분자량] = M 농도 1.48*1000*0.45/56=11.89M 정도가 되네요. >안녕하세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인터넷으로 검색을 했을때 여러가지 수치가 올라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어떤 분은 M농도를 %농도로 계산 할 수 없다고도 하는데, >혹시 문헌이나등에 명확히 나와있는 부분이 있으면 확실할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아시는 분은 꼭 연락해 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