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23
org.kosen.entty.User@6fe11978
구자을(kucu7)
- 1
안녕하세요.
바이오정보기술학과의 석사과정에 있는 학생입니다.
주로 단백질 상호작용(PPI)과 질병간의 상호관계 부분의 연구를 하다가 더 세부적인 발현 패턴 분석을 위해서 microarray DB를 이용한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막상 실질적인 세팅을 하려고 하니까,DB는 어떤것들이 있고, data의 결과 파일은 어떤형태로, 어떤식으로 기록되어 있고,이러한 데이터들을 다루려면 R 등을 이용한 자료 전처리 과정도 필요하고 등등 많은 과정이 필요하던데, 인터넷 검색으로는 어떻게 해야할지 파악하기가 힘들더군요.
원문서적을 찾아보니, microarray 분석 관련 서적이 너무 많고, 미리 볼 수가 없으니, 무턱대고 다 살수도 없겠다 싶더군요.
그래서microarray 분석을 하시는 분이 계시면 관련서적을 추천을 받고자 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혹시 가능하면 제가 직접가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면 더욱좋구요.
새 분야로 공부하려는 학생에게 도움의 손길 부탁드립니다.
- microarray
- es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12-24- 0
>안녕하세요. >바이오정보기술학과의 석사과정에 있는 학생입니다. > >주로 단백질 상호작용(PPI)과 질병간의 상호관계 부분의 연구를 하다가 더 세부적인 발현 패턴 분석을 위해서 microarray DB를 이용한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막상 실질적인 세팅을 하려고 하니까,DB는 어떤것들이 있고, data의 결과 파일은 어떤형태로, 어떤식으로 기록되어 있고,이러한 데이터들을 다루려면 R 등을 이용한 자료 전처리 과정도 필요하고 등등 많은 과정이 필요하던데, 인터넷 검색으로는 어떻게 해야할지 파악하기가 힘들더군요. > >원문서적을 찾아보니, microarray 분석 관련 서적이 너무 많고, 미리 볼 수가 없으니, 무턱대고 다 살수도 없겠다 싶더군요. > >그래서microarray 분석을 하시는 분이 계시면 관련서적을 추천을 받고자 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혹시 가능하면 제가 직접가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면 더욱좋구요. > >새 분야로 공부하려는 학생에게 도움의 손길 부탁드립니다. 합성기술에서 부터 응용(DNA, protein, biochip 등등..)까지 다양한 범위를 공부 하실려면 알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된 책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다음 도서를 추천해 드립니다. "Microarray Technology in Practice" (Russell, Steven /Meadows, Lisa A. /Russell, Roslin R.) (출판사: Academic)
답변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