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27
org.kosen.entty.User@6d831452
정규연(recherche1)
- 2
일반적으로 실험실용 DSSC 제작방법은,
액체전해질을 주입하여 밀봉테이프로 막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고체고분자전해질은 어떤 식으로 제작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된 논문이나 방법을 아신다면, 정보제공 부탁 드립니다. ^^
- 고체고분자전해질
- DSSC 제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영환님의 답변
2011-02-24- 0
우연히 질문을 보게 되었습니다. 너무 답변이 늦지 않았나 모르겠네요. 관련 링크의 문헌에 대략적인 개요가 그림으로 나와있습니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방법은 소개되어 있진 않네요.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용 DSSC 제작방법은, > >액체전해질을 주입하여 밀봉테이프로 막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 >고체고분자전해질은 어떤 식으로 제작하는지 궁금합니다. > >관련된 논문이나 방법을 아신다면, 정보제공 부탁 드립니다. ^^ > > > -
답변
김선영님의 답변
2011-03-08- 0
고체 염료감응 태양전지라고해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전극을 형성한 다음에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먼저 도입한 다음, 상대 전극을 덮어주는 형식으로 제작합니다. 젤 타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액체 방법과 비슷하게 태양전지의 구조를 먼저 형성한 다음 젤전해질 용액에 담금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대학원 졸업 논문 주제가 고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였는데 관심을 갖고 계신분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아 마음이 좋습니다... 글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네요... 혹시 의문이 있다면 쪽지 주세요 학교 다닐때 그림이 있었던거 같은데 찾아서 하나 보내드리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실험실용 DSSC 제작방법은, > >액체전해질을 주입하여 밀봉테이프로 막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 >고체고분자전해질은 어떤 식으로 제작하는지 궁금합니다. > >관련된 논문이나 방법을 아신다면, 정보제공 부탁 드립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