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19
org.kosen.entty.User@77438bc6
정용대(gumsa007)
- 2
이쪽 시험은 초보라 문의를 드립니다.
혈액내 FSH 와 estradiaol을 분석하게 되어 방법을 ?아보니
참고문헌을 보면 거의 EDTA가 든 튜브에 채혈한 뒤 분리된 혈청으로 분석하라고 하는데요
제가 알기로는 일반 진공튜브나 주사기에 채혈을 하고 상온에 12시간 정도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EDTA를 이용해서 혈청을 분리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혈액분리에 있어서 헤파린 등을 이용하여 분석항목에 따라 몇몇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과 혈장을 이용하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요? 논문에는 그 이유에 대해서는 나와있지 않아 갑갑합니다.
- 혈청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향숙님의 답변
2011-01-20- 0
보통 많이 헷갈리는 부분인것 같습니다. 항응고제 처리한 혈액은 혈액응고가 되지 않으므로 원심분리를 했을때 얻는 상층액은 혈장(plasma)입니다. 혈액응고에 필요한 인자들이 충분히 들어있는 분획입니다. 이 분획은 혈액응고시약을 넣어주면 clot이 생깁니다. 항응고제는 heparin, EDTA, sodium citrate 등을 사용합니다. 항응고제를 처리하지 않은 혈액은 혈액응고가 일어나므로 원심분리를 했을때 얻는 상층액은 혈청(serum)입니다. 혈청은 위의 실험을 할수 없습니다. 시험에 따라 시험의 목적, detec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의 여부, 감도 등을 고려하여 혈장혹은 혈청 사용여부가 결정될것입니다. 혈장을 쓰는 경우 이와 동일한 맥락으로 특정 항응고제가 선택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쪽 시험은 초보라 문의를 드립니다. >혈액내 FSH 와 estradiaol을 분석하게 되어 방법을 ?아보니 >참고문헌을 보면 거의 EDTA가 든 튜브에 채혈한 뒤 분리된 혈청으로 분석하라고 하는데요 >제가 알기로는 일반 진공튜브나 주사기에 채혈을 하고 상온에 12시간 정도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EDTA를 이용해서 혈청을 분리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혈액분리에 있어서 헤파린 등을 이용하여 분석항목에 따라 몇몇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과 혈장을 이용하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요? 논문에는 그 이유에 대해서는 나와있지 않아 갑갑합니다. > >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1-20- 0
>이쪽 시험은 초보라 문의를 드립니다. >혈액내 FSH 와 estradiaol을 분석하게 되어 방법을 ?아보니 >참고문헌을 보면 거의 EDTA가 든 튜브에 채혈한 뒤 분리된 혈청으로 분석하라고 하는데요 >제가 알기로는 일반 진공튜브나 주사기에 채혈을 하고 상온에 12시간 정도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EDTA를 이용해서 혈청을 분리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혈액분리에 있어서 헤파린 등을 이용하여 분석항목에 따라 몇몇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과 혈장을 이용하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요? 논문에는 그 이유에 대해서는 나와있지 않아 갑갑합니다. > > aqua님께서 설명을 알기 쉽게 잘 해주신거 같습니다. 참고로 부연설명을 하자면, FSH와 estradiol은 plasma(혈장)과 serum(혈청)에 모두 존재합니다. 그런데 질문자분께서 하시고자 하는 실험 내용을 보니 혈장에서의 두 호르몬 level을 측정하려는 거 같습니다. 보통은 채혈하고 나서 분리하고자 하는 것이 혈청이든 혈장이든 원심분리를 해주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혈장의 경우는 특히 꼭 원심분리를 해줘야 plasma를 원하는대로 얻을 수 있습니다. 혈장의 경우는 EDTA, heparin, 또는 sodium citrate tube를 사용하고, 혈청은 serum separation tube(SST) 전용 튜브를 사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