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NA 구조분석에 관하여

제가 만든 DNA에 삽입된 유기 분자크기의 영향으로 유기 분자에서 가까운 base pair들이 부분 적으로 수소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어떤 distortion이 발생한 것 같은데, CD spectra나 molecular moldeling, Tm 등으로 그 구조를 밝히기 쉽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DNA 분자 구조를 예상하거나 분석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접근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해서 글을 올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 DNA
  • CD spectra
  • molecular model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제가 만든 DNA에 삽입된 유기 분자크기의 영향으로 >유기 분자에서 가까운 base pair들이 부분 적으로 수소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어떤 distortion이 발생한 것 같은데, >CD spectra나 molecular moldeling, Tm 등으로 그 구조를 밝히기 쉽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DNA 분자 구조를 예상하거나 분석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접근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해서 글을 올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X-ray crystalography를 통한 결정학적인 데이타를 얻어보는 건 어떨런지요? 또한 유기분자를 합성하셨다니 NMR로 구조분석이 가능하시겠군요. NOESY나 ROESY를 이용해서 dipolar interaction 분석을 통해 3차원 구조를 예상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제가 만든 DNA에 삽입된 유기 분자크기의 영향으로 >유기 분자에서 가까운 base pair들이 부분 적으로 수소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어떤 distortion이 발생한 것 같은데, >CD spectra나 molecular moldeling, Tm 등으로 그 구조를 밝히기 쉽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DNA 분자 구조를 예상하거나 분석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접근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해서 글을 올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X-ray crystalography를 통한 결정학적인 데이타를 얻어보는 건 어떨런지요? 또한 유기분자를 합성하셨다니 NMR로 구조분석이 가능하시겠군요. NOESY나 ROESY를 이용해서 dipolar interaction 분석을 통해 3차원 구조를 예상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