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6
org.kosen.entty.User@65998e80
이지수(skeleton12)
- 2
물을 전기분해 할 때,
Anode에서 물이 분해되어 산소와 proton , electron이 생성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촉매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 수 있을지요??
아니면 참고자료나 논문을 소개해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전기분해
- 촉매
- 수소생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2-16- 0
물을 전기분해 할 때 전기전도도를 높일 목적으로 KOH 같은 전해질을 사용합니다. 일종의 촉매로 볼 수도 있는 물질입니다. 근래들어 연료전지 관련하여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죠. 일각에선 TiO2 같은 반도체 물질을 개량하여 광분해 방법을 연구하기도 합니다. 제는 다른 관심사로 접하게 되었지만 님의 관심사에 실마리가 될만한 논문이라 생각해 소개해 드립니다. 찾아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ature 464, 1329?1333 (29 April 2010) doi:10.1038/nature08969 A molecular molybdenum-oxo catalyst for generating hydrogen from water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1-02-17- 0
전기분해를 할 때 Anode에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주의할 점은 촉매자체를 전극으로 사용하여야 된다는 점입니다.촉매로써는 MnO2등으로 양극을 만듭니다. 그러나 금속 전극 위에 촉매를 코팅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양극으로 사용하면 양극에서에서의 OH와 O2 및 양극과 음극간의 전기적인 인력에 의하여 코팅된 막이 금방 박리되어버립니다. 따라서 양극은 Ti을 600Cx 4시간 에서 열처리하여 TiO2로 표면개질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무난합니다. 그러나 음극은 Pt(수소 발생 전위를 낮추어 줌)등과 같은 촉매를 코팅하여 사용하여도 위와 같은 박리 현상이 없습니다. 그리고 물 자체는 저항이 매우 높은 유전체이므로 물에 KOH를 25% 녹여서 전해질로 사용합니다.(K이온은 수소발생 전위보다 낮기 때문에 KOH를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