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7
org.kosen.entty.User@3b4a44c3
권기학(0416xing)
- 1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는 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로 헤파린과 interaction 하는 물질들을 purify하고 fraction 하는데 사용된다고합니다
헤파린이 affinity ligand를 가지고 있고 cation exchanger의 역할을 해 단백질들과 결합을 잘합니다 단백질을 헤파린 컬럽으로부터 elution할때 고농도의 NaCl(1.5M)을 이용해 단백질을 분리시키는데 그원리를 알고싶습니다 어떤반응으로 똘어지는지 말입니다
부탁드립니다 참고문헌이 있으면 같이알려주세요~
- 헤파린크로마토그래피
- 단백질
- 부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2-17- 0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는 않지만 헤파린 컬럼에서 단백질을 분리해내는 과정은 응집효과를 이용한 듯 합니다. 아시겠지만 단백질은 콜로이드의 일종으로 전해질을 가하면 응집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는 용액에 존재하는 이온종의 농도 변화가 단백질의 2~3차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고정상(헤파린)에 대한 단백질의 결합력 변화를 유발시키는 겁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단백질의 결합력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모든 요소, 즉 pH, 이동상의 농도, 이온종의 종류 등을 변화 시키면 세밀한 분리가 가능해지리라 예상합니다. 물론 이러한 factor들은 단백질의 결합력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이동상의 용리강도(eluent strength)도 변화 시키겠죠. 때문에 특별히 고농도 NaCl 용액 뿐만 아니라 이동상의 pH를 변화시켜도 결합된 단백질을 컬럼에서 떼어낼 수 있으리라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