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24
org.kosen.entty.User@619cc911
김창목(cmkim1)
- 1
동물약품인 ciprofloxacin (CAS 85721-33-1)은 현재 산성액제로 제품화하고 있읍니다.
알칼리액제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자료나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 ciprofloxacin
- 알칼리액제
- 제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2-24- 0
ciprofloxacin (CAS 85721-33-1)은 퀴놀론계 광범위 항생제의 일종으로 동물 뿐 아니라 인체에도 투여하는 약물입니다. 경구투여(먹는약, 보통 알약형태), 주사제, 크림 등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구요. 산성액제는 주사제를 말씀하시는 거네요. 불행히도 제가 아는 범위에선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카리액제는 없습니다. 만들수는 있겠지만 생체 투여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용해도 입니다. 산성액제를 만드는 이유는 산성범위에서 용해도가 가장 좋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유기용매에는 용해도가 매우 낮습니다. pH를 증가시키면서 용해도를 측정한 후 x축을 pH로 놓고 그래프를 그려보면 비대칭 "U"자 형태의 그래프가 됩니다. pH 3.5~4.5 부근에서 용해도가 가장 높습니다. 제 기억으로 약 40mg/mL 정도이고, pH 11부근에서 30 mg/mL 정도 입니다. 이러한 성질로 미루어 볼때 알카리성 액제를 사용할 경우 투여환부 근처에서 약제가 석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또 pH가 너무 높으면 조직손상 위험도 있구요.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약제의 pH나 염의 종류 등은 약제의 흡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 된 것이기 때문에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