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04
org.kosen.entty.User@57ad50f1
- 1
현재 antibody를 구매하고자 여러 제조사의 홈페이지를 찾아보고 있습니다만
동일 antigen의 antibody라도 용도가 종류마다 제각각이네요.
이런 용도는 각 antibody가 어떻게 다르기에 나뉘는 것인지요?
그리고 저희가 하고자 하는 바는 inorganic surface에 treatment를 하여 antibody를
부착하고자 하는데요. 이 경우 어떠한 용도의 antibody를 구매하면 될지요?
전문가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antibody
- WB
- ELIS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민태님의 답변
2011-03-07- 2
항체(antibody)는 외부에서 면역원(antigen)이 개체(animal)에 유입되었을 때, Immune reponse의 한 형태로 개체의 면역 system에서 항원의 제거를 위해 만들어내는 생체 단백질입니다-물론 잘 아시겠지만... 현재 상업화된 항체들을 제조하는 회사들은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이들은 항체를 잘 만들어내는 실험동물들 (토끼, 쥐, 염소 등등)을 이용하여 정제된 항원물질을 체내로 투입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몸에서 만들어진 항체를 추출하여 정제된 형태의 항체를 prep.후 비싼 값에 시판하고 있습니다. 워낙 많이 쓰는 항원(주로 단백질이겠죠)에 대한 항체는 대량으로 만들어 놓고 팔고 있고, Customer가 원하는 특수한 항원물질에 대한 항체도 customize 제작하여 팔고 있습니다. 그리고 체내에서 항원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는 기작에서 항원의 특정부위를 인식하여 항체를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항원의 인식부위가 되는 곳을 epitope이라고 부릅니다. 항체가 인식하게 될 epitope은 항원이 가진 구조 중 여러 군데의 위치가 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데로 실험동물들에 항원을 찔러넣게 되면 이런 여러부위의 epitope들에 대한 항체가 체내에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를 polyclonal 항체라고 합니다 (하나의 항원에 대한 구조 중 여러군데를 인식하는 항체들이라는 뜻이죠) 하지만 한 곳의 epitope만 인식하는 항체를 원할 때 그것도 유전공학적으로 가능합니다. 한 곳의 epitope만 인식하는 항체를 monoclonal 항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항체는 용도로 분류되기 보다는 어느 동물에서 어떤 형태로 만들어졌느냐에 따라 구분되어 표기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항체들은 항원에 대한 binding이 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 binding 목적의 실험이라면 어떤 형태를 구입해서 사용하셔도 가능합니다. 다만 정량을 어떻게 할 것이며 어떤 실험이냐 (in vivo, in vitro)에 따라 항체를 제작한 source (실험동물)가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inorganic surface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항체를 부착하는 방법에도 기술적으로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아마 drug같은 것에 붙이려고 하시는 건지 모르겠습니다만 항체를 conjugation방식으로 붙이는 방법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Antibody & conjugation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많은 참고문헌들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현재 antibody를 구매하고자 여러 제조사의 홈페이지를 찾아보고 있습니다만 > >동일 antigen의 antibody라도 용도가 종류마다 제각각이네요. > >이런 용도는 각 antibody가 어떻게 다르기에 나뉘는 것인지요? > >그리고 저희가 하고자 하는 바는 inorganic surface에 treatment를 하여 antibody를 > >부착하고자 하는데요. 이 경우 어떠한 용도의 antibody를 구매하면 될지요? > >전문가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