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05
org.kosen.entty.User@777d24f5
원아영(way1981)
- 1
부착성 배양 세포를 부유배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관련 논문이 있을까요?
엉뚱한 생각같지만..
꼭 scafold 같은 carrier를 이용하지 않고,
부유배양을 시도할 수 는 없는지요?
혹시 참고될 만한 논문이나 자료가 있을까요?
어떤 조언도 좋습니다.
- suspension culture
- attached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민태님의 답변
2011-03-07- 0
질문하신 부착성 세포는 bacteria가 아닌 animal cell처럼 덩치가 큰 세포들에 대한 질문이라고 생각됩니다. 대부분의 primary cell (조직에서 분리하여 바로 배양이 되는 세포)들은 부착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만... 그래서 anchorage dependent cell culture용 plastic ware들은 표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서 이러한 세포들이 붙어서 잘 자라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cell들이 붙어서 자라는 성질들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특수한 약품처리 (세포의 표면에 binding에 관련된 단백질들을 저해하는 목적) 를 통하여 달성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일시적일 뿐입니다. 제약회사같은 데서 유용한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위해 생산세포들을 부유배양(suspension) culture)으로 키우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암화된 (transformed) 세포들입니다. 무한 증식을 하면서 목적 단백질을 줄줄이 뽑아내죠. 그런데 붙어서 자라는 생산세포의 경우 세포가 붙어서 자랄만한 충분한 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면에 있어서나 대량생산에 적합하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세포들을 부착성을 가지지 않게 하는 쪽으로 생산세포를 개량하였습니다. 예를 든다면 조금 무식한 방법이지만 계속 세포를 stirring하면서 부유배양하는 놈들만 계속 계대배양하며 선별하는 방식을 쓰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붙어서 자라고 싶은 세포들이 붙을 데가 없으니깐 자기들끼리 뭉쳐서 죽어나가기도 하고 외형적으로는 성장이 감소하는 것처럼 보입니다만... 시간이 지나고 계속 끈기있게 계대배양을 하다보면 떠서 자라는 supended cell만 선별적으로 살아남는 결과가 생깁니다. 이렇게 적응된 세포를 가지고 부유배양용 세포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부착성 배양 세포를 부유배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관련 논문이 있을까요? >엉뚱한 생각같지만.. >꼭 scafold 같은 carrier를 이용하지 않고, >부유배양을 시도할 수 는 없는지요? >혹시 참고될 만한 논문이나 자료가 있을까요? >어떤 조언도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