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17
org.kosen.entty.User@4f7d0c55
박정일(niipark)
- 1
안녕하세요.
폴리머 멤브레인/화학분야와 관련 없는 1인이 공부를 하려 합니다.
자료를 보는 중에
PDMS (멤브레인)의 산소투과율이 FEP 혹은 PP (멤브레인)보다 훨 높더군요.
폴리머 물질로 제작된 멤브레인들인데,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는 왜 PDMS가 FEP/PP 보다 산소투과율이 높은지, 그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참고자료나 답변이 될 만한 자료를 알려주세여~
꾸벅~
폴리머 멤브레인/화학분야와 관련 없는 1인이 공부를 하려 합니다.
자료를 보는 중에
PDMS (멤브레인)의 산소투과율이 FEP 혹은 PP (멤브레인)보다 훨 높더군요.
폴리머 물질로 제작된 멤브레인들인데,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는 왜 PDMS가 FEP/PP 보다 산소투과율이 높은지, 그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참고자료나 답변이 될 만한 자료를 알려주세여~
꾸벅~
- PDMS
- FEP
- 산소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재훈님의 답변
2011-03-18- 0
PDMS를 경화시켜 폴리머를 형성시키고, 챔버를 구현한 뒤, 액체를 채우고 하루정도 실내에 두기만 해도 그 액체(물)가 증발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미세한 기공들이 PDMS에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런 이유로 산소투과율이 다른 폴리머 재질과 비교하여 높은 것이라 생각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