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0
org.kosen.entty.User@5c9c5ce7
강주혜(cube)
- 3
마그네슘을 가열하면 왜 산화마그네슘이안되고 질화마그네슘이 되나요?
질소보단 산소가 더 반응성이좋은데 왜 질소와 반응하나요?
- MgO
- 질화마그네슘
- 산화마그네슘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박현국님의 답변
2011-03-24- 0
간단히 생각하면, 대기중에 산소보다 질소가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요.. 대기 중 질소:산소비가 약 7:3 정도이니까, 아무리 산소가 질소보다 반응성이 좋다고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양이 많은 질소화합물을 만들것으로 생각됩니다. -
답변
임영관님의 답변
2011-03-24- 0
마그네슘이 일반적으로 연소하면 산화마그네슘이 형성되며, 부산물로 질화마그네슘이 형성됩니다. cube님께서 말씀하신 가열조건은 아마도 질소 충전상태에서의 반응조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마그네슘으로부터 연소에 의한 산화마그네슘과 질화마그네슘 형성과정은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http://www.elmhurst.edu/~chm/vchembook/143Amgoxide.html -
답변
박태교님의 답변
2011-03-24- 0
> > > >마그네슘을 가열하면 왜 산화마그네슘이안되고 질화마그네슘이 되나요? > >질소보단 산소가 더 반응성이좋은데 왜 질소와 반응하나요? > > 산화마그네슘이 더 잘 만들어집니다. 산소가 반응성이 더 좋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반응한 생성물도 산소와 반응한 물질이 더 안정합니다. 다만 공기중에서 반응하면 대부분 산화마그네슘이 얻어지지만 부분적으로 질화마그네슘이 얻어진답니다. (www. answers.com에서 magnesium nitride를 검색하시면 자세히 알 수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