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NO assay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NO assay
  • phagocyto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정재한님의 답변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phagocytosis만의 활성도를 보실려고 하신건가요? 아님 정상 세포에 염증을 유발시킨후 NO formation 을 억제시킨 결과를 보시는 건가요? 자료가 더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요.. LPS (-), (+)의 control 대비 분석을 하시면 될 것같은데 질문 내용만으로는 결론을 내기가 힘듭니다. salay@daum.net 으로 첨부자료를 보내주신다면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도와드리겠습니다.^^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phagocytosis만의 활성도를 보실려고 하신건가요? 아님 정상 세포에 염증을 유발시킨후 NO formation 을 억제시킨 결과를 보시는 건가요? 자료가 더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요.. LPS (-), (+)의 control 대비 분석을 하시면 될 것같은데 질문 내용만으로는 결론을 내기가 힘듭니다. salay@daum.net 으로 첨부자료를 보내주신다면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도와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기환님의 답변

    1. "LPS 처리군에서는 미세한 차이가 나왔지만 A, B 단독군의 처리간에는 차이가 많이 발생했다"에서 LPS 처리군은: LPS+A, LPS+B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만약 그런 경우라면, 워낙 LPS가 강력한 activator이기 때문에 LPS의 작용에 의해서 A,B간에 차이가 있더라고 그 활성이 LPS작용 대비 묻혀 보일 가능성이 있을 듯 하네요. 2. 그렇다면 A,B의 활성 차이는 단독군의 결과로 판단하는게 맞는것 같은데요.. 이때 check up 한가지, 각 A, B의 NO level은 LPS에 비하여 어떠한가요? A가 LPS 대비 굳이 더 높지 않더라도 충분히 상승되어 있으면 정도에 따라 의미있는 level로 판단 할 수 있겠으나, A가 B보다 높다고 하더라도 A의 양이 LPS 대비 상당 히 적은 정도이면 A와 B가 차이가 난다고 하더라도 큰 의미에서는 "면역활성이 좋 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아닐수도 있을 듯 합니다. 이때 LPS와의 비교정도가 불분명하 므로 그 criteria를 정하기는 힘들것입니다. 때문에 phagocytosis와 병행하여 보는 것일텐데 'phagocytic effect가 있다'고 하는 점도 구체적인 fact 대비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3. NO production만으로 '면역활성이 좋다'는 의미로 가야하는지 거꾸로 '염증에 안좋 다'고 가야하는지에 대한 signal에 대한 해석에는 좀 광의가 있을 듯 하여, 연관된 다 른 phenotype과 signaling factor들이 함께 참고가 되면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는 cell functional assay로 phagocytosis를 보신다고 하였고, phagocytosis는 innate immunity에서 host defense system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단은 "면역활성측면"에서 보는 쪽이 좋을 듯 합니다. immune activator들이 임상적으로 염증상에서 사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은 잘 알고 계 실줄 압니다. 그럼 참고하세요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1. "LPS 처리군에서는 미세한 차이가 나왔지만 A, B 단독군의 처리간에는 차이가 많이 발생했다"에서 LPS 처리군은: LPS+A, LPS+B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만약 그런 경우라면, 워낙 LPS가 강력한 activator이기 때문에 LPS의 작용에 의해서 A,B간에 차이가 있더라고 그 활성이 LPS작용 대비 묻혀 보일 가능성이 있을 듯 하네요. 2. 그렇다면 A,B의 활성 차이는 단독군의 결과로 판단하는게 맞는것 같은데요.. 이때 check up 한가지, 각 A, B의 NO level은 LPS에 비하여 어떠한가요? A가 LPS 대비 굳이 더 높지 않더라도 충분히 상승되어 있으면 정도에 따라 의미있는 level로 판단 할 수 있겠으나, A가 B보다 높다고 하더라도 A의 양이 LPS 대비 상당 히 적은 정도이면 A와 B가 차이가 난다고 하더라도 큰 의미에서는 "면역활성이 좋 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아닐수도 있을 듯 합니다. 이때 LPS와의 비교정도가 불분명하 므로 그 criteria를 정하기는 힘들것입니다. 때문에 phagocytosis와 병행하여 보는 것일텐데 'phagocytic effect가 있다'고 하는 점도 구체적인 fact 대비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3. NO production만으로 '면역활성이 좋다'는 의미로 가야하는지 거꾸로 '염증에 안좋 다'고 가야하는지에 대한 signal에 대한 해석에는 좀 광의가 있을 듯 하여, 연관된 다 른 phenotype과 signaling factor들이 함께 참고가 되면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는 cell functional assay로 phagocytosis를 보신다고 하였고, phagocytosis는 innate immunity에서 host defense system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단은 "면역활성측면"에서 보는 쪽이 좋을 듯 합니다. immune activator들이 임상적으로 염증상에서 사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은 잘 알고 계 실줄 압니다. 그럼 참고하세요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원래 NO촉진제인 LPS에 의해 iNOS가 증가로 생성되는 NO량을 측정하게 되는데 아마도 상기 이유는 NO으 ㅣ자연적을 발색이나 false positive인 듯 함 일르 제거하기 위해 SNP를 대조로 확인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후 ㅅ;료에 대한 validation하기바람
    >NO assay 결과를 해석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에서 회수한 토탈 단백질을 추출한 후 투석을 거쳐 단백질 농도를 맞추어 raw cell 배양액에 처리를 하였습니다. 그결과 동일하고 배양조건만 다른 미생물 단백질 추출물이 결과가 다르게 나왔습니다. >LPS를 처리한 그룹은 미세한 차이를 보였지만, LPS를 처리하지 않고 단독으로 처리한 단백질 추물 A,B가 NO의 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만일 A>B인 NO 발현량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 >1) phagocytosis의 활성을 증가 시켰으므로 A가 B 보다 좋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인가요? > >2) A가 Inflammation 에 반응의 촉매제로써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 별다른 효능을 기대할수 없다고 해석해야 하나요? >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원래 NO촉진제인 LPS에 의해 iNOS가 증가로 생성되는 NO량을 측정하게 되는데 아마도 상기 이유는 NO으 ㅣ자연적을 발색이나 false positive인 듯 함 일르 제거하기 위해 SNP를 대조로 확인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후 ㅅ;료에 대한 validation하기바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