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2
org.kosen.entty.User@5b62fa67
구자을(kucu7)
- 1
안녕하세요.
저는 Biology관련 분석tool을 개발중인 학생입니다.
현재는 연구 과제에 참여하여 alignment를 이용하는 특정 실험에서 분석에 용이한 형태의
Reporting을 해주는 tool을 개발중입니다.
이런과정에서 연구하시는 박사님 얘기로는 원하는 결과형태를 주는건 없을 뿐더러, 국내에서 개발한것은 본적이 없다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저도 대충 찾아봐서는 국내에서 만든 tool이 없긴 한거 같던데, 외국에서는 CLC와 유사기능의 tool을 많이 만든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국내에서 만든 BLAST나 CLC workbench 같은 tool들이 있나요?
(아시는거 있다면 사이트 주소점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 혹시 실험하면서 alignment 관련 tool을 쓰신다면, 위의 사이트 외에 다른것들을 이용한다면, 해당사이트랑 이유도 듣고 싶습니다.
(예: 대충 간단히 확인인하기에 속도가 빨라서,
쉽게 자신의 DB구성을 직접해서 돌려볼 수 있어서
phylogenetic 결과 그래픽 처리가 맘에 들어서
다양한 사이트의 DB data연동을 쉽게 할 수 있어서
그냥 선배들이 쭉- 써오던 거여서 등등)
- alignment
- bioinfo
- sequenc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서주현님의 답변
2011-03-24- 0
>1. 국내에서 만든 BLAST나 CLC workbench 같은 tool들이 있나요? > (아시는거 있다면 사이트 주소점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국내에서 만든 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LAST가 워낙 잘 만들어(?)놔서 국내 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굳이 database search 용으로 BLAST이외에 다른 걸 만들려는 노력은 못 본 것 같습니다. CLC workbench tool이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모르겠지만, 굳이 상용 프로그램을 쓰시기 보다, 계속 개발되어 공개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쓰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잘 된다는 프로그램들을 연구자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서 쓰면 최소한 상용 프로그램 이상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2. 혹시 실험하면서 alignment 관련 tool을 쓰신다면, 위의 사이트 외에 다른것들을 이용한다면, 해당사이트랑 이유도 듣고 싶습니다. > (예: 대충 간단히 확인인하기에 속도가 빨라서, > 쉽게 자신의 DB구성을 직접해서 돌려볼 수 있어서 > phylogenetic 결과 그래픽 처리가 맘에 들어서 > 다양한 사이트의 DB data연동을 쉽게 할 수 있어서 > 그냥 선배들이 쭉- 써오던 거여서 등등) Clustalw: 속도가 빠릅니다. 만약 100개 이상의 대용량 서열을 정렬하신다면 clustalw 이외의 대안은 없는 것 같습니다. SPEM: profile-profile alignment를 쓰기 때문에 정확성이 제일 높은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입력된 서열들에 대해서, 서열 하나하나를 PSI-BLAST를 돌려 profile을 만들어서 프로파일들을 비교해서 alignment를 만들기 때문에 매우 정확합니다. 그러나, 속도가 느립니다. 10개 이내의 서열에 대해서 정확하게 정렬하고 싶을 때 쓰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 자체에서 10개 이상의 서열은 안 받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t-coffee: 정확하다고 하는데, 인상 깊은 정렬 결과를 본 기억은 없는 것 같습니다. 논문에 나온 Benchmark 결과를 보면 정확성에서 top tier에 드는 것 같습니다. 속도는 clustalw 보다 더 느리고, SPEM 보다는 훨씬 빠릅니다. ProbCons: 정확하다고 하는데, 때때로 이상한 정렬 결과를 줍니다. 논문에 나온 Benchmark 결과를 보면 정확성에서 top tier에 드는 것 같습니다. 속도는 clustalw 보다 더 느리고, SPEM 보다는 훨씬 빠릅니다. Muscle: 결과를 보면 clustalw와 별로 큰 차이는 없는 듯 한데, 많이 사용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위 다섯개가 제가 주로 사용했던 것들인데, 저는 대량의 서열정렬을 할 때는 clustalw를 쓰고, protein structure prediction을 할 때에는 SPEM을 썼습니다. 최근에 어떤 alignment program이 나왔는지는 저도 update가 안되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Nucleic Acid Research에서 매년 초에 database와 bioinformatics program을 쫙 정리해서 논문을 싣고 있는데, 요즘에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게 있으면 찾기 쉬운데... 만약 원하시는 것이 서열정렬 결과를 분석하기 좋은 포맷으로 출력해주는 것이라면, 서열 정렬 프로그램보다는 viewer를 찾아보시는 것이 더 빠를 듯 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을 읽어보니 아무래도 제가 하는 개발은 viewer쪽일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