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8
org.kosen.entty.User@6a22430f
김성일(durtjd)
- 3
안녕하세요
잔류농약 분석은 GC(ECD, NPD 등등)나 HPLC (UVD)로 대부분 분석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로 분석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던데요.
이것은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를 사용하면 다른 검출기 필요없이 전종류의 분석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다른 검출기에서 필요한 검정선용 표준시약이 필요없는 건가요?
아시는 분 좀 가르쳐 주십시오?
잔류농약 분석은 GC(ECD, NPD 등등)나 HPLC (UVD)로 대부분 분석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로 분석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던데요.
이것은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를 사용하면 다른 검출기 필요없이 전종류의 분석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다른 검출기에서 필요한 검정선용 표준시약이 필요없는 건가요?
아시는 분 좀 가르쳐 주십시오?
- 잔류농약
- GC mass
- 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2011-03-28- 0
mass도 마찬가지로 표준시료 필요합니다. 표준시료랑 같이 해서 크로마토그램에서 RT값을 확인합니다. 크로마토그램만 보면요 RT가 같아서 겹치거나 peak이 지저분하고 노이즈인지 실제 peak으로 나왔는지 구별해야되니까요 그런데 mass를 달면 분자량을 알수있으니까.. 그냥 크로마토그램에서 RT값 확인하는것보다 더 확실하니까요. 요즘 지금은 mass 데이터만 인증되지만 곧 mass/mass 데이터도 라이브러리 정리되면 mass/mass 데이터도 인증되고 그럴꺼예요 mass만 확인하면 비슷한것들이 있을수있으니까 한번 더 깨서 mass-mass 보면 확실히 구별할수 있으니까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3-29- 0
>안녕하세요 > >잔류농약 분석은 GC(ECD, NPD 등등)나 HPLC (UVD)로 대부분 분석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로 분석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던데요. >이것은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를 사용하면 다른 검출기 필요없이 전종류의 분석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다른 검출기에서 필요한 검정선용 표준시약이 필요없는 건가요? > >아시는 분 좀 가르쳐 주십시오? 거의 대부분 정량분석기기는 내부표준물질이나 외부표준물질로 정량곡선이나 정량값을 계산할때 표준물질로 사용해야만 정확한 정량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mass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Mass는 특징별로 스펙별로 구성별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GC-MS, LC-MS 에서부터 좀 더 정확한 정량을 가능하게 하고 한번에 여러물질을 동시에 정량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MS/MS(일명 tandem mass)까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지 GC/mass나 LC/MS 또는 GC/MS/MS, LC/MS/MS의 경우는 단순히 GC나 HPLC에서 사용하는 내,외부 표준물질과는 조금 성격이 다른 deutrium이나 14C같은 미약한 동위원소로 분자 일부 구조가 치환된 물질들을 종종 사용합니다. 물론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이러한 물질을 내외부 표준물질로 넣고 정량을 하게 되면 좀 더 정확한 정량값을 주게 됩니다. 이유는 농도를 알고 있는 내부표준물질을 샘플 전처리 시에 함께 넣어주고 전처리 하게 되면 전처리 과정상에서 샘플 loss를 보상해 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결국 정확한 정량값을 산출하게 됩니다. 또 한가지 MS나 MS/MS가 가지는 중요한 특징은 동시에 구조가 비슷하거나 함께 섞여 있는 여러 물질을 정량분석이 가능하게 해 준다는 것입니다. 특히 MS/MS를 사용하게 되면 multiple reaction monitoring법을 종종 사용하게 되는데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구조대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각 물질을 특정 충돌에너지를 가하게 되면 고유의 단편으로 잘라지게 되는데 그 조각분자들에 대해서 정량을 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물리,화학적으로 유사한 물질들을 동시에 각각 구분하여 정량할 수가 있는 원리죠..참고하세요..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4-15- 0
>안녕하세요 > >잔류농약 분석은 GC(ECD, NPD 등등)나 HPLC (UVD)로 대부분 분석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로 분석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던데요. >이것은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Mass검출기나 Mass-Mass검출기를 사용하면 다른 검출기 필요없이 전종류의 분석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다른 검출기에서 필요한 검정선용 표준시약이 필요없는 건가요? > >아시는 분 좀 가르쳐 주십시오? -분자량이 서로 다르고 이런 농약은 이미 표준품으로 확인되도록 설정되어 잇어서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