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4
org.kosen.entty.User@2860d865
구효근(hgkoo)
- 2
유기-무기분자의 NMR 측정은 그 분자에 배위된 금속에 따라 다르고 또한 같은 금속이라도 산화수에 따라서도 측정여부가 다르다고 합니다.
제가 알고 싶은 내용은 왜 그러한 차이가 생기는 걸까요 그리고 nmr로 분석가능한 금속은 어떤거가 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NM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동국님의 답변
2011-04-07- 2
>유기-무기분자의 NMR 측정은 그 분자에 배위된 금속에 따라 다르고 또한 같은 금속이라도 산화수에 따라서도 측정여부가 다르다고 합니다. >제가 알고 싶은 내용은 왜 그러한 차이가 생기는 걸까요 그리고 nmr로 분석가능한 금속은 어떤거가 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4-11- 2
>유기-무기분자의 NMR 측정은 그 분자에 배위된 금속에 따라 다르고 또한 같은 금속이라도 산화수에 따라서도 측정여부가 다르다고 합니다. >제가 알고 싶은 내용은 왜 그러한 차이가 생기는 걸까요 그리고 nmr로 분석가능한 금속은 어떤거가 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기율표에 보시면 각 족마다 주기마다 고유의 특징들이 있다는 것은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 특징중 하나로 전기음성도가 있는데 배위결합을 하게 되면 공유결합에 참여한 원자중에 한쪽에서만 전자를 제공하기 때문에 배위된 금속에 따라 전자분포가 다르게 됩니다. 결국, 전기음성도가 클 금속일수록 결합에 참여한 유기물의 H이나 Carbon 등의 전자밀도의 치우침 또는 편재화가 달라지게 되어서 결국 shielding 또는 deshielding 현상으로 각각 다른 화학적 변이를 겪게 됩니다. 이론적으로 NMR분석이 가능한 금속은 57Fe, 103Rh, 195Pt, 61Ni, 59Co, 105Pd 등이 있습니다. 첨부파일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