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7
org.kosen.entty.User@451f4b5f
이태곤(gon)
- 1
hydrogen fluoride (HF) 의 IR spectrum을 측정하려 합니다.
여러 자료를 검색해봤지만 모양과 크기 등이 불분명하여 직접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중인데,
일단 HF를 만드는 방법은 CaF2 + H2SO4인데요..
HF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매우 크지만
황산이 HF 보다 산성도가 더 커서 물 속에서 HF는 해리되지 않고 존재할 것이라 생각되거든요.
그래서 IR 측정시 용매로 사용할 chloroform을 HF+H2SO4 용액에 섞어주면 물속에 녹아있던 HF의 일부는 chloroform으로 이동해서 HF in CHCl3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아직 HF 스펙트럼을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참고한 문헌은 증류해서 HF를 분리한다고 되어있는데, 기구도 없고 band 모양을 확인하는게 최우선이라 CHCl3로 추출을 시도하려 했었습니다.
혹시 도움 주실 분 안계신가요?
여러 자료를 검색해봤지만 모양과 크기 등이 불분명하여 직접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중인데,
일단 HF를 만드는 방법은 CaF2 + H2SO4인데요..
HF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매우 크지만
황산이 HF 보다 산성도가 더 커서 물 속에서 HF는 해리되지 않고 존재할 것이라 생각되거든요.
그래서 IR 측정시 용매로 사용할 chloroform을 HF+H2SO4 용액에 섞어주면 물속에 녹아있던 HF의 일부는 chloroform으로 이동해서 HF in CHCl3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아직 HF 스펙트럼을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참고한 문헌은 증류해서 HF를 분리한다고 되어있는데, 기구도 없고 band 모양을 확인하는게 최우선이라 CHCl3로 추출을 시도하려 했었습니다.
혹시 도움 주실 분 안계신가요?
- HF
- hydrogen fluori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태교님의 답변
2011-04-13- 0
>hydrogen fluoride (HF) 의 IR spectrum을 측정하려 합니다. >여러 자료를 검색해봤지만 모양과 크기 등이 불분명하여 직접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중인데, >일단 HF를 만드는 방법은 CaF2 + H2SO4인데요.. >HF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매우 크지만 >황산이 HF 보다 산성도가 더 커서 물 속에서 HF는 해리되지 않고 존재할 것이라 생각되거든요. >그래서 IR 측정시 용매로 사용할 chloroform을 HF+H2SO4 용액에 섞어주면 물속에 녹아있던 HF의 일부는 chloroform으로 이동해서 HF in CHCl3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아직 HF 스펙트럼을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참고한 문헌은 증류해서 HF를 분리한다고 되어있는데, 기구도 없고 band 모양을 확인하는게 최우선이라 CHCl3로 추출을 시도하려 했었습니다. >혹시 도움 주실 분 안계신가요? HF는 다루기가 쉽지 않은 물질이라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나 봅니다. 우선 질문 내용 중에 있는 내용처럼 CaF2 + H2SO4로 반응해서 HF를 포집할 수는 있겠는데요, 다만 황산은 묽은 수용액을 쓰는 것이 아니라 진한 황산 (>96%) 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성되는 CaSO4 는 고체이므로 (물에대한 용해도도 낮습니다), 진한 황산에다 CaSO4 powder를 넣으면(with well stirring) HF가 휘발되어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이를 포집하면 되는데, CHCl3용액으로 만들고 싶으므로, CHCl3 액체 속으로 HF 가스를 bubbling하면 HF-CHCl3 용액이 될 걸로 예상됩니다.황산 속에 들어 있는 물 (96% 황산의 경우 4%)은 황산이 물을 너무나 강력하게 잡고 있으므로 휘발되어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진한 황산은 그 자체가 dehydrating agent 입니다. 다만 HF는 유리를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다른 기구를 사용하든지, 아니면 사용하는 유리기구는 버릴걸로 각오하고 사용하셔야 할 것입니다. HF 수용액 상태에서 추출하고 싶으시면, CaSO4 대신 KF를 추천 합니다(위에서도 언급되었듯이 CaF2를 사용하면 CaSO4 고체가 생성되어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불편 할 걸로 에상됩니다) KF + H2SO4 하여도 HF + K2SO4 가 생성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때는 HF가 물층으로 부터 CHCl3 층으로 잘 추출되도록 하기위하여, 생성되는 K2SO4 가 수용액층에 포화가 되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물의 양을 조절하십시요. 만들어진 HF가 CHCl3로 추출되면, 동시에 물도 어느 정도 함유된 HF-CHCl3 가 되므로 HF-CHCl3 용액을 Na2SO4(anhydrous)로 dry 하신 후 클로로포름 용액을 취하여 실험하십시요.